음식물쓰레기 배출 대상인지 아닌지를 어떻게 구별할 수 있을까. 2011년의 경우 음식물쓰레기 1만3537t 중 95%가 사료화, 퇴비화, 바이오가스화 등으로 처리됐다. 사료화, 퇴비화, 바이오가스화에 사용할 수 있는 생분해성 물질, 즉 쉽게 부패되는 것을 음식물쓰레기로 배출하면 된다는 얘기다. 생분해되지 않는 물질을 음식물쓰레기로 배출하면 사료나 바이오가스 생산 공정에서 파쇄기 고장의 원인이 된다. 또 이런 물질이 사료, 퇴비 등에 남게 되면 사료의 품질이 떨어진다.
요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쓰레기 중 음식물쓰레기로 배출하면 안 되는 것은 다음과 같다. △견과류 중 호두, 밤, 땅콩 등의 딱딱한 껍데기 △복숭아, 살구, 감 등 핵과류의 씨 △육류 중 소, 돼지, 닭 등의 털과 뼈 △생선 뼈, 어패류 중 조개, 소라 굴 등의 껍데기와 게, 가재 등의 껍데기 △계란 등 알의 껍데기 △티백에 담긴 차 찌꺼기, 한약재 찌꺼기 중 녹각이나 계피 등이다.
그 밖에도 헷갈릴 수 있는 게 건조된 귤껍질과 양파껍질 등이다. 이것들은 사료용으로 수거해 쓰는 게 가장 좋지만, 사료용 수거 시스템이 갖춰져 있지 않다면 일반 생활폐기물로 배출하는 게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생활폐기물로 종량제 봉투에 넣어 버리면, 소각 처리하면서 열을 회수하여 전기나 스팀 등을 생산하거나 고형연료 제조 원료로 이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두근거리는삶 >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부 못 하는 나라 - 독일교육 (0) | 2013.12.07 |
---|---|
한강 투신하면 죽는 이유 (0) | 2013.09.20 |
구직의 성공조건 (0) | 2013.09.19 |
휴식사용법 (0) | 2013.08.19 |
월스트리트 간 인턴의 자세 (0) | 2013.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