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성장일변도 정책의 결과 수도권과 지방의 격차는 해결할 수 없는 정도까지 벌어졌다. 그러나 균형발전이라는 명목으로 세계시장과 경쟁할 수 있는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의 성장기반을 억제할 수도 없다. 따라서 수도권 억제를 통한 지역 균형발전 전략보다 지역의 자생적 발전을 이끌어내 동반성장을 도모하는 새로운 정책패러다임을 발굴해야 한다.
이제까지 지역 발전의 성장기반으로 인프라 구축에 주력해 왔다. 이제는 인프라보다 지역 인재를 확보해 지속적으로 육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재를 발굴해 잘 교육하고 산업·서비스·행정 등 지역의 각 분야에서 책임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배려하는 것이 자생적 지역 발전의 기본 전제다. 이런 관점에서 지역 대학의 역할이 크게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지역 대학은 수도권과의 상대적 격차로 여러 부문에서 어려움을 겪어왔다. 지속적인 지역 인재 육성은커녕 정반대로 가고 있다.
대학입시 과정에서부터 지역 두뇌들이 수도권의 상위권 대학으로 빠져나가는 문제는 개선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수도권에 주요 기능이 집중되고, 고급 일자리 기회를 제공하는 등 지역 인재를 유인하고 있다. 교통과 정보인프라의 발전도 고급 인재 유출을 부추기고 있다. 이는 대학원 과정에서 한 번 더 반복된다. 정부의 연구중심대학 관련 각종 시책이 수도권 일부 대학에 치우쳐 그나마 잘 키운 고급 두뇌들마저 수도권에 흡수돼 버린다.
지역이 지속가능한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고급 인력을 지역에 착근시켜야 한다. 그렇다면 지역 대학은 어떠한 방식으로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가.
첫째, 지역 대학이 산업발전의 동반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역 산업체와 긴밀한 협조를 이루어 나가야 한다. 대학 신입생 때부터 기업가정신을 배양하고, 창업과 적극적인 산학 협력 프로그램을 통해 새로운 경쟁력을 가진 지역 기반 강소기업을 육성하고 지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경제성장과 지역 혁신을 뒷받침해야 한다.
둘째, 지역 대학이 지역 거버넌스 구축의 동반자적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지역 문제를 지역 주민의 관점에서 파악하고 관리하며 해결할 수 있는 ‘주민참여의 장’이 지역 대학을 중심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학생회와 각종 시민운동을 통해 지역 문제에 관심을 갖게 하고, 장차 책임있는 지도자로 육성하는 역할을 지역 대학이 해야 한다. 구미 선진국에서는 지역 경영의 실제 경험이 국가지도자로 자리매김하는 데 중요한 평가지표가 된다.
셋째, 대학은 지역의 창조적 발전에 견인차가 될 수 있다. 각 지역이 비슷한 수준의 인프라가 구축된 상황에서 지역 나름의 문화, 서비스, 역사 등을 바탕으로 한 창조적인 발전은 지역의 경쟁력을 높이는 또 하나의 잣대가 될 수 있다. 21세기 새로운 성장산업의 하나로 문화와 관련 서비스를 바탕으로 한 창조산업의 육성이 새로운 관심 영역으로 떠오르고 있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지역 동반성장을 위한 대학의 역할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때마침 ‘지역 대학 시대를 열다’라는 슬로건으로 교육과학기술부는 내년부터 각종 사업추진을 계획하고 있다. 지역 대학은 새로운 교육 및 사업을 확보하려는 좁은 시야에서 관심의 영역을 넓혀 지역 동반성장의 기회로 본 사업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실제로 대학이 지속가능한 지역 발전에 구체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정부와 지자체, 관련 기관, 지역 산업체들이 함께 참여하는 산·학·연·관 협력모델로서 본 사업이 시행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
정상철 충남대 총장
http://articl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8912643&cloc=olink|article|default
'교양있는삶 > 사설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석구 칼럼] 폭력의 민영화 (0) | 2012.08.15 |
---|---|
[광화문에서/양종구]“태환아, 이젠 쉬엄쉬엄 하렴.” (0) | 2012.08.15 |
[시론] 안철수 ‘사람’을 보았다 (0) | 2012.08.15 |
[서소문 포럼] CEO를 위한 조선왕조실록2 (0) | 2012.08.15 |
[세상 읽기/금태섭] 5·16과 우리 사회의 보수 (0) | 2012.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