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does China censor the internet?
어떻게 중국은 인터넷을 검열하는가?
THE first e-mail sent from China, on September 14th 1987, was optimistic: "Across the Great Wall we can reach every corner in the world." Few of China's 560m internet users now have such reach, however, because China tightly controls its people's use of the internet. The "Freedom on the Net 2012" report, issued by Freedom House, an American organisation that tracks global trends in political freedom, ranked China as the third most restrictive country in the world when it comes to internet access, after Iran and Cuba (though this ranking excludes those places, such as North Korea, where ordinary people are not allowed to use the internet at all). How does China censor the internet?
1987년 9월 14일 중국에서 최초로 보내진 이메일은 긍정적이었다. “만리장성을 넘어 우리는
전 세계 어디든 닿을 수 있다.“ 던 중국은 이제 560만 인터넷 사용자 중 극히 일부만 그럴 수 있다. 중국당국이 인민들의 인터넷 사용에 강력한 규제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치적 자유도의 세계적 추세를 조사하는 미국 기관 프리덤 하우스에서 발간한 ”2012 인터넷 자유도 조사“ 보고서는 인터넷 접근에 관해선 중국을 이란, 쿠바(이 순위는 북한처럼 일반인들의 인터넷 사용이 아예 안 되는 나라들은 배제했다)에 이어 전 세계에서 3번째로 규제가 강한 나라로 평가했다. 왜 중국은 인터넷을 검열할까?
The Chinese central government has two main ways of controlling what its citizens see on the web: the Great Firewall, as it is called by foreigners, which is a system of limiting access to foreign websites which started in the late 1990s, and the Golden Shield, a system for domestic surveillance set up in 1998 by the Ministry of Public Security. Separate government departments, along with local and provincial administrations, also have their own monitoring systems. China began by blocking a list of foreign websites, including Voice of America, human-rights organisations and some foreign newspapers. But its filters have since become more sophisticated and can now selectively block specific pages within foreign websites, rather than making the entire site inaccessible. They can also block particular terms when they are used in search queries or instant messages. Google is not blocked entirely; instead, users who search for banned keywords are blocked from Google for 90 seconds, though other websites remain available. China's many internet companies are regularly issued with lists of restricted keywords, and often censor blog posts and other content pre-emptively to avoid trouble with the authorities. In all there are thought to be around 100,000 people, employed both by the state and by private companies, policing China's internet around the clock. Since 2005 the state has also paid people, known as the "50 Cent Party", to post pro-government messages and steer online conversations away from sensitive topics.
중국중앙정부는 인민들이 웹에서 보는 것을 규제하는 2가지 주요 방법을 가지고 있다. 그 중 하나는 만리장성 방화벽이다. 외국인들이 그렇게 부르는 이 시스템은 1990년 후반부터 해외웹사이트를 접근을 제한하기 시작했다. 다른 하나는 황금 방패인데 이 시스템은 1998년 공안국에 의해 만들어진 국내 감시용이다.지방, 주행정부, 분리된 정부 조직들 또한 각자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중국은 VOA, 인권단체,해외언론사를 포함한 해외 웹사이트들을 막으면서 감시를 시작했다. 그러나 이후로 감시망은 더 정교해지고, 전체 웹사이트에 접근을 차단하기보단 지금은 선별적으로 외국 웹사이트 내에서 특정 페이지만 막을 수 있게 되었다. 중국은 검색사이트나 채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도 막을 수 있다. 구글 전체가 막히진 않지만 대신에 금기 키워드를 검색하는 유저들은 90초 동안 다른 사이트들은 이용 가능해도 구글은 막힌다. 중국의 많은 인터넷 회사들은 정기적으로 제한 검색어 리스트를 발간하고, 당국과 트러블을 피하기 위해 미리 선수를 쳐서 블로그 글이나 다른 콘텐츠를 검열하기도 한다. 공기업이나 사기업에 고용된 총100,000 명 정도가 24시간 내내 중국 인터넷 치안 감시 활동을 한다고 생각된다. 2005년 이후 정부는 “50 Cent Party"라 알려진 사람들에게 돈을 주고 친정부적인 메시지를 올리고 민감한 주제에 대해서는 온라인 논쟁을 피하도록 몰고 가라고 시켰다.
China's criteria for censoring the internet are slightly more subtle than foreigners often assume. In essence it applies the rules that have prevailed since the Tiananmen Square crackdown of 1989: do not jeopardise social stability, do not organise and do not threaten the party. Accordingly, criticism of mid-ranking officials is tolerated, particularly if it is in keeping with the government's anti-corruption drive. But attacks on the senior leadership are swiftly removed (prompting Chinese internet users to refer to senior figures using nicknames or coded language, in an effort to stay ahead of the censors). The most brutal restrictions are applied to any post that calls for offline protests or demonstrations—even for pro-government causes. The censorship system's main goal is to prevent the internet from being used to co-ordinate or organise real-world political activity. In extreme cases, internet access may be cut off altogether, as happened for ten months in 2009, after riots in Xinjiang, a remote north-western region.
인터넷 검열에 관한 중국의 기준은 외국인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약간 미묘하다. 본질적으로 중국은 1989년 천안문사태 이후 만연한 법을 적용 시킨다; 사회 안정을 위협하지마라, 당을 만들지 말고, 공산당을 위협하지마라. 따라서 중간실무자들을 향한 비판, 특히 정부의 반부패개혁과 발맞추는 비판이라면 참을 수 있다. 하지만 고위 리더쉽을 공격하는 것은 신속히 제거되어진다. (그래서 중국 인터넷 유저들은 검열보다 한 발 앞서서 높은 분을 별명이나 암호화된 언어를 사용하며 부른다.) 거장 잔인한 제한은 오프라인 시위나 데모를 요청하는 글에 적용 된다-심지어 친정부적 이유일지라도. 중국 검열 시스템의 주요 목적은 인터넷이 진짜 세계 정치 활동을 조직하거나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막는 것이다. 극단적인 예로, 북서부 지역 신장에서 폭동이 일어난 후로 2009년 10개월 동안 그랬던 것처럼, 인터넷 접근은 모두 차단되어질지도 모른다.
In short, China is having it both ways: it is allowing its citizens to benefit from the social and commercial aspects of the internet, while placing strict limits on its use for political activism. Other authoritarian governments consider China's approach a model to be emulated. There is no doubt that microblogs such as Sina Weibo, the Chinese equivalent of Twitter, have given the public a new voice with which to demand more accountability from officials on issues such as corruption, food safety and air pollution. But so far the government has managed to prevent the internet being used to campaign for broader political change. Indeed, by providing people with an outlet to vent their concerns and giving the illusion of public debate, the internet may even be delaying the radical changes that China needs.
줄여서 중국은 양 쪽을 다 가지고 있다. 인민들이 인터넷을 정치적 활등으로 사용하는 것을 엄격히 제한을 두는 동시에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 인터넷으로 혜택을 받는 것을 허용한다. 그래서 다른 독재 정부들은 중국의 접근법을 모방 모델로 생각한다. 중국판 트위터 Weibo같은 마이크로블로그가 대중들이 부패, 식품 안전, 대기 오염 같은 이슈에 대해 공무원에게 더 많은 책임을 요구하는 새로운 목소리를 주었다는데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 그러나 지금까지 중국 정부는 인터넷이 더 큰 정치적 변화 운동에 사용되는 것을 막는 것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사실은 사람들에게 그들의 걱정을 배출해낼 창구를 제공하고, 대중 논쟁의 환상을 제공함으로써 인터넷은 중국이 요구하는 급진적 변화를 더 늦추고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pre-emptively : 미리 선수를 치는
In all : 모두 합쳐, 총
around the clock :24시간 내내
have/want it both ways : (결합시킬 수 없는) 양쪽을 다 가지다/원하다
'두근거리는삶 >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4-02-06]Why does Easter move around so much? (0) | 2014.02.08 |
---|---|
[2014-01-31]Why is South Africa included in the BRICS? (0) | 2014.02.01 |
[2014-01-28]How does Colorado's marijuana market work? (0) | 2014.01.29 |
[2014-01-27]Why Thai politics is broken? (0) | 2014.01.28 |
[2014-01-27] Why Other Countries Teach Better (0) | 2014.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