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y Thai politics is broken
왜 태국 정치는 고장났는가
AFTER more than three months of anti-government protests in Bangkok, which are increasingly being scarred by violence, the government has imposed a state of emergency in Thailand's capital and surrounding provinces. This may make it hard to hold the snap election the government had called for February 2nd. In any event, the main opposition party will boycott it. So it will not end Thailand’s political confrontation. The government’s opponents now openly campaign for a temporary interruption to Thai democracy so that an appointed council can make reforms to “save” it. But in the recent past other undemocratic solutions—a military coup in 2006 and a judicial one in 2008—failed to provide a durable solution. Why has the political system broken down?
점점 폭력으로 얼룩진 방콕 반정부시위가 3개월 이상 지속된 후에야 태국 정부는 수도와 주변지역에 비상상태를 선포했다. 이는 정부가 2월 2일에 요청한 불시 선거를 실시하는걸 어렵게 만들 것이다. 어쨋든 야당은 선거를 보이코트를 할 것이고, 태국 정치 대립은 끝나지 않을 것이다. 태국정부 반대자들은 지금 임명된 위원회가 민주주의를 “구하기 위한” 개혁을 할 수 있도록 공개적으로 태국 민주주의에 대한 일시적 중단을 찬성하는 운동을 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2006년 군사 쿠데타와 2008년 사법부 쿠데타같은 비민주적인 해결책들은 항구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했다. 왜 태국 정치 시스템은 고장난걸까?
The two sides would answer this question differently. For the government’s opponents, Thai democracy has been hijacked by Thaksin Shinawatra, a tycoon and former prime minister now in self-imposed exile, having been sentenced to jail in Thailand for corruption. But parties loyal to him keep on winning elections—in 2001 and three times since. The latest incarnation is led by his sister, Yingluck. Before Mr Thaksin’s emergence, Thai government alternated between fractious, corrupt coalitions and fractious, corrupt military dictatorships (the army has made 18 coup attempts since the end of absolute monarchy in 1932). Thanks to a new democratic constitution introduced in 1997, however, Thaksinite parties can win elections even without coalition partners, thanks to votes from the populous north and north-east of the country. Critics accuse the Thaksins of massive corruption and of bankrupting the country with populist policies. For Mr Thaksin’s supporters, however, the problem is that he has threatened the interests of the old Thai establishment, represented by the civil service, the army, the judiciary and the monarchy. They portray the protests as an anti-democratic backlash from a privileged class under threat.
양 쪽은 질문에 대한 대답을 다르게 할 것이다. 반정부자에게 태국 민주주의는 정재계 거물이자 부패 혐의로 태국에서 징역형을 선고받고 현재 자진 망명 중인 전 총리 탁신 친나왓에게 장악되어 왔다. 그러나 그에게 충성을 바치는 정당은 계속 선거에서 이기고 있다(2001년 이래로 3번). 가장 최근 그의 화신은 여동생 잉락 친나왓이다. 탁신의 출현 전에 태국 정부는 말썽 부리고, 부패한 연립정부와 말썽 부리고 부패한 군사 독재 사이를 오갔다 (군대는 전제군주국이 끝난 1932년 이래 18번의 쿠데타 시도를 했다).그러나 1997년 새로운 민주법안이 도입되고, 인구가 많은 북부와 북동부 사람들의 표 덕분에 탁신 사람들의 정당은 연정 파트너 없이도 선거에서 이겼다. 비평가들은 탁신을 대규모 부패와 표퓰리즘 정책으로 인한 태국 파산의 죄목으로 비난한다. 그러나 탁신 지지자들에게는 탁신이 관료, 군대, 사법부, 왕정으로 대표되는 오래된 태국 기득권층의 이익을 위협한 것이 문제라 생각한다. 그들은 반정부시위를 위협 아래있는 특권층의 반민주주의적 반발로 묘사한다.
Both explanations have some merit. Thaksinite governments have tended to rule in their voters’ interests, not the whole country’s; and their opponents are not just from a well-heeled elite. Thai society is split. But not quite down the middle: Thaksin loyalists do win elections. Thai politics has broken down because the compact on which democracy is based—that losers will accept the result until the next election—no longer applies. Large, influential sections of Thai society find rule by the Thaksin family simply intolerable. They will use almost any tactic to unseat it, including accusing it of disloyalty to the much-revered king, Bhumibol Adulyadej. That the king is 86 and frail, and his presumed successor, the crown prince, is unpopular, and seen as perhaps susceptible to Mr Thaksin’s influence, fuels the sense of panic in the opposition.
양 쪽 해석 둘 다 가치가 있다. 탁신 정부는 전체가 아니라 자신들에게 투표한 유권자들의 이익을 위해서만 통치하는 경향이 있고,탁신의 반대자들은 부유한 엘리트 출신이 아니다. 태국 사회는 갈라졌다.그러나 완전히 가운데까진 아니다; 탁신 지지자들은 선거에서 잘 이긴다. 태국 정치에서 민주주의에 근간이 되는 계약-패배자는 다음 선거까지 결과를 받아들인다-이 더 이상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고장난 것이다. 태국 사회의 거대하고, 영향력 있는 집단들은 탁신가문의 정치를 그야말로 견딜 수 없다고 여긴다. 이들은 탁신가를 자리에서 몰아내기위해 무척이나 존경받는 왕 푸미폰 아둔야뎃에 불충성하다는 죄목으로 고발 하는 등의 온갖 전략을 다 쓸 것이다. 86세의 왕은 노쇠하고, 아마 그의 뒤를 이을 황태자는 인기가 없어 아마 탁신의 영향력에 취약할 것으로 보인다는 사실은 반대쪽의 공포감을 부채질한다.
The election, if it takes place, will result in a landslide for Miss Yingluck, but change nothing. The opposition will hope she can be overthrown by a coup, or by legal action (an anti-corruption commission is investigating her). But a government run by Mr Thaksin’s opponents, such as the one in power from 2008 to 2011, will be illegitimate and unstable. And the longer the to-and-fro continues, the more fundamental will appear the divisions in Thailand, which are not just social, but also cultural and even ethnic and linguistic, between fairer-skinned southerners, many with some Chinese ancestry, and northerners, who speak a version of Thai closer to Lao. So the protests threaten not just peace and stability, but the very integrity of Thailand.
만약 선거가 일어난다면, 결과는 잉락의 압승일 것이고 아무것도 변하지 않는다. 반대파는 그녀가 쿠데타나 합법적 선거(반부패위원회가 그녀를 조사 중에 있다)로 실각하길 바랄 것이다. 그러나 탁신의 반대파가 이끄는 정부는 2008-2011년에 했던 것처럼 불법이고 불안정 할 것이다. 그리고 동요가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핵심은 분열로 나타날 것이다. 이는 단순한 사회적 분열이 아니라 중국계 흰 피부의 남방인들과 라오스어에 가까운 태국어를 구사하는 북방인들 사이의 문화적, 심지어 민족적, 언어적 분열이 될 것이다. 그래서 이번 시위는 단순히 평화와 안정만을 위협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태국의 통합을 위협한다.
http://www.economist.com/blogs/economist-explains/2014/01/economist-explains-13
hold the snap election : 불시선거를 실시하다
In any event : 아무튼
undemocratic : 비민주적인
tycoon : 거물
self-imposed exile : 자진 망명
coalition : 연정, 연합
fractious : 말썽을 부리는
absolute monarchy : 전제군주국
populous : 인구가 많은
establishment : 사회 기득권, 지배층, 기관, 시설, 설립, 확립
backlash : 반발
well-heeled : 부유한
frail : (노인의)노쇠한, 허약한
crown prince : 황태자
sense of panic : 공포감
landslide for : (선거)압승
overthrow :실각하다, 전복하다
to-and-fro : 앞뒤로 움직임, 동요하는
'두근거리는삶 >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4-01-30]How does China censor the internet? (0) | 2014.01.31 |
---|---|
[2014-01-28]How does Colorado's marijuana market work? (0) | 2014.01.29 |
[2014-01-27] Why Other Countries Teach Better (0) | 2014.01.27 |
[2014-01-05] Why has Canada killed off the penny? (0) | 2014.01.07 |
[2014-01-04] Why would anyone want to host the Olympics? (0) | 2014.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