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빠, 생신 축하! 여기 선물이에요.” 초등학교 4학년 딸아이가 얇은 노트를 내민다. 수년 전 미국에 살고 있을 때의 일이다. 아이가 건네준 것은 다름 아닌 자신이 쓴 ‘이야기’였다. 미국에 간 지 몇달밖에 안 된 때였는데, 영어로 이야기를 만들어서 아빠에게 선물할 생각을 했다는 것 자체가 너무 귀엽고 대견했다. 매일 저녁에 글쓰기 숙제와 씨름하더니 아빠에게 생애 최고의 생일선물을 안겨준 것이다. 이럴 때 아빠는 지갑을 열게 되어 있다.
꽤 길었다. 마이크 앞에서 이렇게 길게 승리의 소감을 이야기하는 선수를 나는 여태 보지 못했다. 고생한 선수들에게 미안한 말이긴 하지만, 승리 소감을 말하는 선수들의 인터뷰는 “승리해서 기쁘고 우리 모두 잘해줬다” 정도여서 안 들어도 그만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니 인터뷰 시간도 몇초면 된다. 하지만 그날 구자철은 달랐다. 뻔한 정답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그 중요한 경기를 에워싼 개인과 팀의 사연을 차근차근 이야기하고 있었다. 나는 그의 이야기 구성 능력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트위터에 소소한 이야기를 많이 올리는 기성용도 소통 능력이 뛰어난, 몇 안 되는 선수 중 하나다.
올림픽 축구대표팀 구자철이 지난 8월10일(현지시간) 영국 카디프 밀레니엄 스타디움에서 열린 일본과의 경기에서 후반 골을 성공시키고 세리머니를 하고 있다. 카디프=올림픽사진공동취재단 |
사람들에게 역사상 누가 가장 뛰어난 과학자냐고 한번 물어보라. 아인슈타인, 뉴턴, 다윈 등을 지목할 것이다. 그들은 논문만 달랑 몇편 쓴 과학자가 아니었다. 혁명적인 연구뿐만 아니라 자신의 생각을 길게 책으로 펴낸 이들이다. 일반인이 가장 좋아하는 물리학자 파인먼, 천문학자 세이건, 생물학자 도킨스의 공통점은 뛰어난 연구자라는 사실만이 아니다. 각각 <물리학 강의>, <코스모스>, <이기적 유전자>와 같은 현대의 과학 고전을 쓴 탁월한 글쟁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이공계 인재들에게도 글쓰기 능력을 필수로 가르치자. 운동선수들에게도 말하기 능력을 가르치자. 학교에서 아이들에게 독서 과제와 작문 숙제만큼은 꼬박꼬박 챙겨주자. 소통 능력은 기본기다. 다른 재능이 아무리 뛰어나도 기본기가 없다면 오래가지 못한다.
'교양있는삶 > 사설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스룸/전승훈]런던스타일과 강남스타일 (0) | 2012.09.22 |
---|---|
[양선희의 시시각각] 식량 부족한 날이 온다 (0) | 2012.09.22 |
[아침을 열며/8월 15일] 올림픽, 8·15, 그리고 한류 (0) | 2012.09.22 |
[도정일 칼럼/8월 15일] 우리 본성 속의 더 나은 천사 (0) | 2012.09.22 |
[세상 읽기] 싸이의 말춤은 막춤이 아니다 / 장대익 (0) | 2012.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