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9. 19. 15:12

몇 년 전에 캐나다 교민 초청 강연을 갔을 때 들은 이야기다. 캐나다를 출발하여 유럽으로 가던 비행기 안에서 한 남자가 옆에 앉은 지적장애 소녀를 성추행했다. 이 사실을 안 스튜어디스는 기장에게 알렸고 비행기는 즉시 회항하였다. 마치 연료가 떨어졌다는 말을 들은 것처럼 아무도 다른 말이 없었다. 범죄자를 공항경찰에게 넘기고 비행기는 다시 출발했다. 이 말을 전한 교포는 “그래서 캐나다는 외국 땅이지만 살 만한 곳”이라고 덧붙였다.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의 성추행 사건은 ‘집에서 새는 바가지 밖에서도 샜다’로 요약된다. 고위공직자들과 국회의원, 돈 많은 부자들이 일으키는 성범죄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며 대표적인 사건만 나열해도 이 지면이 넘친다. 그 사건들은 약속이나 한 듯 양은냄비처럼 우르르 끓었다가 슬그머니 사그라졌다. 가해자 내지 범죄자는 일단 숨죽이고 있다가 한 김 빠지고 나면 공식적으로 오리발을 내민다. 그 오리발은 잠시 도마 위에 오르지만 결국 면죄부로 변신한다. 가해자는 기를 펴고 활보하고 세상은 조용해진다. 피해자만 ‘미치고 팔짝 뛸 노릇’이다. 죽음으로써 이 억울함을 증명하고 싶다. 그래서 성폭력 피해 생존자라는 말이 생겼다.(어제 서울에서 성폭력 생존자 말하기 대회 으라차차 후원행사가 있었다.)


성범죄는 남녀간의 일이 아니다. 인권의 문제이다. 인권의 기본은 신체적 자유이다. 사람의 몸을 희롱의 대상으로 삼고 자신의 욕망을 충족하는 도구로 취급하는 것은 심각한 인권침해이다. 그런데 한국 사회는 그것을 인권침해로 여기기보다 ‘남자들의 본성’ 내지는 ‘술김의 실수’ 등으로 쉽게 용서해왔다. 그러니 돈과 권력이 있으면 누구나 해보고 싶고, 할 수 있는 놀이처럼 되어 왔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장자연 사건을 보라.)


우리 사회에 인권 감수성이 부족하다는 것은 윤창중 사건을 다루는 언론에서도 나타난다. 피해 여학생의 아픔과 슬픔에 대해서는 별말이 없다. 백인 중심의 사회에서 힘겹게 살던 이 여학생에게 모국 대통령의 순방은 얼마나 자랑스럽고 기쁜 일이었겠는가. 뭐라도 힘을 보태고 싶은 마음에 사명감과 보람으로 일했을 것이다. 그런데 이런 기막힌 일을 당했으니 본인과 그 부모의 상처는 얼마나 깊을 것인가. 그러나 누구도 그들에게 깊은 사과와 따뜻한 위로를 보냈다는 소식을 듣지 못했다.


여성운동가 후배 한 사람이 외국으로 유학을 갔다. 신입생 축하 파티를 마치고 남자 유학생 선배가 학교생활 정보를 준다기에 학교 앞 술집에 갔다가 성추행을 당했다. 누가 신고했는지 경찰이 왔고, 피해 사실을 확인하는 경찰 앞에 난데없는 애국심이 발동을 걸어 머뭇거리고 있는데, 그 나라 학생 커플이 다가와 자신들이 신고한 이유를 밝혔다. ‘우리가 옆에서 네가 당하는 것을 보았다. 네가 피해 사실을 인정하지 않아도 우리가 피해자다. 이 남자의 못된 행동을 보면서 우리가 너무 힘들었고 이 바 전체의 분위기가 훼손당했다.’


윤창중 사건은 국민 모두가 피해자이며 성희롱·성폭력 문제 해결은 여성단체만의 일이 아니다. 인권위가 앞장서야 한다. 비정규직·아르바이트·밥줄에 목이 매여 당하고 있는 성희롱과 성폭력은 노동부가 나서야 한다. 교권에 의한 학교 성폭력은 교육부가, 거리에서 일상에서 행해지는 성폭력은 안전행정부가, 가족 안의 성폭력은 여성가족부가, 온 행정부처가 다 할 일이 있다. 입법부와 사법부도 분명한 몫이 있다.


지구촌 시대, 남자들의 침묵의 카르텔이 만들어온 한국식 봐주기는 이제 통하지 않는다. 불편한 진실을 인정하는 것이 여성대통령 시대에 거는 기대이다. 여자들의 한이 맺힌 나라는 잘되지 못한다. 성희롱과 성폭력의 근절은 국민행복시대의 가장 시급한 숙제이다.


오한숙희 여성학자·방송인·수키야 놀자 대표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587196.html

Posted by 겟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