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한국전이후 외국의 지속적인 원조와 정부의 경제개발계획에 따라 비약적인 발전을 했습니다. 특히 전후 유엔에 의한 한국정부의 지원(UNKRA)에 의거하여 ‘한국재건계획’이라는 보고서가 마련되었으며, 이에 따라 발전계획이 수립되었습니다. 본 보고서에는 한국이 가지고 있는 가장 큰 장점의 하나로 ‘우수한 인적자원’을 언급하고 있으며, 이것이 향후 한국사회발전에 커다란 잠재력이 될 것임을 강조하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한국이 전후의 경제사회적 어려움을 극복하고, 발전의 도약을 마련한 계기는 자발적인 의지도 있었지만, 세계 각국의 적절한 원조에 의한 지원에도 힘입었던 것입니다.
인적자원개발의 성공 신화를 간직한 나라, 가장 첨단의 기술을 가진 정보통신의 최첨단에 선 나라, 전쟁, 가난, 정치적 갈등을 극복하고 안정적인 경제성장을 이룩한 나라, 이러한 것을 고려한 원조사업을 선택·집중하는 전략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더 이상 다른 국가와 같은 종류의 원조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규모나 선점 등의 사례를 볼 때, 그 파급효과가 미비할 것은 분명합니다.
http://www.korea.kr/newsWeb/pages/brief/sectionNews2/view.do?newsDataId=148608167§ion_id=pm_sec_1
인적자원개발의 성공 신화를 간직한 나라, 가장 첨단의 기술을 가진 정보통신의 최첨단에 선 나라, 전쟁, 가난, 정치적 갈등을 극복하고 안정적인 경제성장을 이룩한 나라, 이러한 것을 고려한 원조사업을 선택·집중하는 전략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더 이상 다른 국가와 같은 종류의 원조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규모나 선점 등의 사례를 볼 때, 그 파급효과가 미비할 것은 분명합니다.
http://www.korea.kr/newsWeb/pages/brief/sectionNews2/view.do?newsDataId=148608167§ion_id=pm_sec_1
'교양있는삶 > 사설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초점] 사랑받는 착한 기업이 살아남는다 (0) | 2012.08.14 |
---|---|
[시론/성태윤]OECD총장의 예사롭지 않은 경고 (0) | 2012.08.14 |
[세상 읽기] 민영화가 아닌 사유화 (0) | 2012.08.14 |
[권태선 칼럼] 대통령의 자격과 공공의식 (0) | 2012.08.14 |
볼보와 현대자동차 (0) | 2011.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