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진 영화평론가의 책 『이동진 독서법』을 읽다가 깊이 공감하는 구절을 만났다. 삶을 이루는 것 중 상당수는 사실 습관이고, 습관이 행복한 사람이 행복한 것이라는 구절이다. 그는 이렇게 말한다. 사람들은 죽기 전에 이과수 폭포를 보고 싶다, 남극에 가보고 싶다는 등 크고 강렬한, 비일상적 경험을 소원하지만 이것은 일회적인 쾌락에 불과하고, 반복되는 소소한 일상 자체가 행복한 사람이 행복한 사람이라고. 마치 동화 ‘파랑새’를 연상시키는 일견 익숙하고 평범해 보이는 말이지만, 실은 굉장히 과학적인 말이기도 하다. 인간의 행복감에 관한 심리학의 연구결과는 공통적으로 ‘행복은 기쁨의 강도가 아니라 빈도’라고 말한다. 어떤 ‘큰 것 한 방’도 오래가지 않는다는 것이다.
습관이 행복해야 행복하다는 말이 좋았던 이유는 폭넓게 생각을 확장해 갈 수 있는 출발점이기 때문이다. 사회적으로는 시민들이 행복한 습관을 누릴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해야 한다. 한강시민공원에서 걷고, 자전거를 타고, 연을 날리고, 낚시를 하는 수많은 사람들의 표정을 살펴보라. 공원과 도서관은 행복 공장이자 행복 고속도로다. 교육도 중요하다. 책을 읽고, 그림을 그리고, 음악을 연주하고, 요리를 하고, 다양한 운동을 즐기고. 어린 시절부터 각자의 행복한 습관을 찾을 수 있도록 경험을 제공하는 교육이 영재교육 이상으로 중요하다.
문유석 판사·『미스 함무라비』 저자
http://news.joins.com/article/21765763
'교양있는삶 > 사설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용석의 일상에서 철학하기]다양성은 곧 생존의 조건 (0) | 2018.01.08 |
---|---|
[동아광장/박일호]참담한 문화계가 다시 살아나려면 (0) | 2018.01.08 |
[백영옥의 말과 글] 감정의 온도 (0) | 2018.01.08 |
[유현준의 도시이야기] 카페·노래방·편의점… 숨을 곳 찾아 헤매는 한국인 (0) | 2018.01.08 |
[朝鮮칼럼 The Column] "아메리칸 드림, 핀란드에서 펼쳐라?" (0) | 2018.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