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창극 전 국무총리 후보자 못지않다. 김수현 전지현에 대한 역사관 검증도 혹독하다. ‘별에서 온 그대’로 중국에서 사랑받고 있는 두 배우는 헝다그룹의 생수 광고 모델 계약을 했다가 ‘물벼락’을 맞았다. 원산지가 백두산의 중국 명인 ‘창바이산(長白山)’으로 돼 있음을 확인한 사람들이 “중국의 동북공정에 놀아났다”며 들고일어난 것이다. 둘은 “취수원까지는 확인 못했다”며 고개를 숙였지만 한쪽에서는 여전히 “한류 스타가 아니라 한류 망신”이라며 혀를 찬다. 농심이 중국 백두산을 취수원으로 하는 생수를 생산하면서 제품명을 ‘백두산수’도 ‘장백산수’도 아닌 ‘백산수’로 정한 것이 얼마나 절묘한 선택인지 감탄하게 된다.
김수현 전지현의 중국 생수 CF 논란을 보면 걸그룹 카라의 ‘독도 침묵’ 사건이 떠오른다. 일본에서 인기 있는 카라는 2012년 “일본에서 독도 관련 질문을 받는다면?”이라는 국내 매체의 질문에 즉답을 피했다가 ‘친일’ 걸그룹이라는 낙인이 찍혔다. 카라에서 탈퇴한 멤버 지영이 최근 일본에서 연기자로 데뷔한다는 소식에 국내 반응은 냉랭한데 “카라가 친일적이어서”라는 것이 일본 언론의 해석이다.
카라의 독도 사건은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 방문으로 한일 관계가 냉랭할 때 일어났지만 이번 생수 논란은 한중 지도자 사이에 봄바람이 부는 가운데 터졌다. 양국 관계가 어떻든 역사나 영토 논쟁은 큰 화재를 일으킬 수 있는 뜨거운 불씨인 것이다.
하지만 한류 스타에게 “백두산은 누구 것?” “독도는?”이라고 묻는 게 현명한 일일까. 한중일이 서로에 중요한 교역국이듯, 한류도 국경을 넘나들며 유통되는 글로벌 상품이다. 중국 최대 검색엔진 바이두가 쏟아내는 한류 관련 소식은 130만 건으로 네이버(38만 건)의 3배가 넘는다. ‘별그대’의 엄청난 경제 효과는 ‘별그대노믹스’로 불린다. 요즘은 잘생긴 남자 배우가 의사로 나오는 ‘닥터 이방인’을 보고 의료 관광을 오는 중국인도 있다. 걸그룹 2NE1, 보이그룹 빅뱅을 비롯해 케이팝 스타들은 세계 2위 규모이며 케이팝 시장보다 20배 큰 제이팝 시장(일본)에서 오리콘 차트의 역사를 새로 쓰고 있다.
이들에게 역사관을 묻는 것은 해외 활동을 포기하라는 말과 같다. 2012년 독도 횡단 수영대회에 참가했던 한류 스타 송일국은 일본 외무성 차관이 “앞으로 일본에 오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언급해 국내에서는 ‘개념 배우’로 박수 받았지만 이 일로 일본 땅을 못 밟는 연예인이 돼버렸다.
싸울 때 싸우더라도 화해의 여지를 남겨두려면 경기장에서 그러하듯 문화 영역에서도 정치적 표현은 삼가야 한다. 양국 간 정치적인 관계가 냉랭하든 열렬하든 문화 교류는 뜨거운 것이 좋다. 정랭문열(政冷文熱) 혹은 정열문열(政熱文熱)이다. 총리 시킬 것도 아니면서 전지현에게 역사관을 묻지 말아야 하는 이유다.
이진영 문화부 차장
http://news.donga.com/3/all/20140702/64877515/1
'교양있는삶 > 사설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시 改造' 놓고 다투는 선거판이라면 (0) | 2014.10.10 |
---|---|
[송평인 칼럼]시진핑 강연의 황당함과 친근함 (0) | 2014.09.17 |
[노재현 칼럼] '하면 된다' 시대의 종언 (0) | 2014.09.17 |
[편집국에서] 이 많은 꿈을 왜 몰랐을까 (0) | 2014.09.17 |
[메아리]"공유하라, 그리고 파괴하라" (0) | 2014.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