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3. 7. 23:30

"이제 세상은 새로운 천년을 맞지/하늘의 별까지 닿고 싶은 인간은/유리와 돌 위에 그들의 역사를 쓰지/돌 위엔 돌들이 쌓이고, 백년이 지나 또 한 세기가 흐르고….”

빅토르 위고 원작 뮤지컬 ‘노트르담 드 파리’는 ‘대성당들의 시대’란 노래로 시작한다.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은 루이 7세 시절인 1163년부터 짓기 시작해 1345년에 완성됐다. 짓는 데 182년이나 걸린 셈이다. 하늘에 가까이 닿고자 하는 사람들의 염원이 담긴 대성당은 이후 850년이 넘도록 보존되면서 파리 한복판에서 수많은 전설을 만들어냈다.

외신에서 꼽은 올해의 ‘10대 뉴스’ 중 하나는 유럽우주기구(ESA)가 발사한 로제타호의 로봇탐사선 필레가 최초로 혜성 착륙에 성공한 것이었다. 로제타호는 2004년 3월 프랑스령 기아나 우주센터에서 발사돼 10년 8개월 동안 65억 km를 날아갔다. 로제타호의 여정은 영화 ‘인터스텔라’ 열풍과 함께 온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영화 속에서 우주선이 블랙홀의 중력을 역이용했듯이 로제타호도 지구와 화성의 중력을 모두 4차례 역이용했고 영화에서 우주인들이 산소와 식량을 아끼기 위해 동면에 들어간 것처럼 로제타호도 전원을 끄고 운항하다가 3년 만에 깨어나 혜성에 안착했다.

20년 넘게 준비해 온 로제타 프로젝트의 성공에 대해 유럽 언론들은 “대성당 정신(Cathedral Spirit)의 복귀”라며 환영했다. 대성당 짓기처럼 우주 탐사도 내 생애에 목표를 이루기보다는 세대를 이어서 실현해야 하는 사업이기 때문이다. 로제타 프로젝트에 들어간 돈은 약 14억 유로(약 1조9000억 원). 그러나 문제는 예산이 아니었다. 정책적 의지가 관건이다.

냉전시기 미국과 소련 간의 인공위성 발사와 달 착륙 경쟁을 씁쓸한 눈빛으로 바라봤던 유럽의 과학자들은 1975년 ESA를 설립했다. 본부는 파리에 있지만 독일 네덜란드 스페인 등에 수많은 연구시설이 분산돼 있다. 유럽의 기술이 총집결된 에어버스 항공기가 동체는 프랑스에서, 날개는 영국에서, 수평꼬리는 스페인에서, 도색은 독일에서 맡아 생산되는 것과 비슷하다.

언뜻 비효율적으로 보이지만 이것이 유럽의 힘이기도 하다. 유럽연합(EU)의 기구들은 수차례 토론을 통해 어렵게 합의를 이끌어내지만 일단 합의만 하면 각국의 정치 변동과 관계없이 프로젝트를 안정적으로 밀고 나갈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 왔다. 새 정부가 들어설 때마다 ‘창조경제’ ‘디자인 서울’ ‘정보기술(IT) 생명공학 벤처 육성’ 같은 구호가 등장하지만 정권이 바뀌면 쉽게 잊혀지는 한국과는 다르다.


경제위기로 우울한 한 해를 보낸 프랑스인들에게 올해는 몇 가지 자존심을 세울 일이 있었다. 작가 파트리크 모디아노(문학상), 장 티롤 교수(경제학상) 등 노벨상 수상자 두 명을 배출했고 로제타호의 혜성 항해를 지휘한 인물도 프랑스 천체물리학자 장피에르 비브링이었다. 프랑스 일간 레제코는 “전 세계에서 ‘프랑스 때리기’가 유행이지만 프랑스인들은 기초학문 분야에서 묵묵히 저력을 발휘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한국도 올해는 참담한 비극적 사건이 줄을 이어 전 국민이 집단 우울증 증세에 빠지기도 했다. 그러나 유럽에 ‘대성당의 정신’이 있다면 우리에게도 석굴암 불국사 같은 ‘천년사찰의 정신’이 왜 없겠는가. 내년엔 우리도 자기비하보다는 미래를 향한 큰 꿈을 준비하는 해가 되면 좋겠다. 꼴찌 팀을 맡아 가을야구에 성공한 LG 트윈스의 양상문 감독의 말을 되새기고 싶다. “우리는 우리가 생각한 것보다 훨씬 강하다.”


전승훈 파리 특파



http://news.donga.com/3/all/20141222/68705957/1



Posted by 겟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