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녁 무렵 슬그머니 풀잎 정상을 향하는 개미들이 있다. 그들은 새벽까지 풀잎을 꽉 깨물고는 꼼짝도 하지 않는다. 뭔가 이유 있는 행동이 아니었을까? 하지만 그 행동 때문에 개미는 풀을 뜯기 시작한 양이나 소에게 잡아먹힌다. 마치 ‘나 잡아 드세요’라는 자살 행동 같다. 개미의 관점에서는 도저히 납득이 되지 않는 행동이다. 비밀은 ‘창형 흡충’이라는 기생충에게 있다. 이 기생충의 ‘꿈’은 번식의 파라다이스인 양의 위장에 도달하는 것이다. 하지만 혼자서는 그 꿈을 이룰 능력이 없다. 그래서 개미의 뇌를 감염시켜 양에게 쉽게 잡아먹히도록 개미를 조종하는 것이다.
하지만 뜻하지 않게 이 영화는 우리의 마음과 행동에 대한 본질적인 질문을 던지는 것 같다. ‘우리의 마음을 감염시켜 결국 행동을 변화시키는 것은 무엇일까?’ 연가시 같은 생물 기생충 말고 ‘멘탈 기생자’ 같은 것은 없을까? 멀쩡했던 사람을 비상식적 고집불통이 되게 한다든지, 목숨 건 투사로 만든다든지, 심지어 자살 테러리스트로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말이다. 종교와 정치가 아닐까?
물론 종교의 모든 교리들이 멘탈 기생자는 아닐 것이다. 하지만 어떤 것은 정말 그렇다. 세상의 지식이 어떠하든 자신들의 종교적 교리만이 진리라는 믿음은 ‘멘탈 연가시’다. 이른바 사이비종교 단체에 몸과 마음과 가정을 모두 빼앗긴 분들도 감염자들이지만, 종교적 교리와 열정 때문에 과학교과서에서 진화론을 삭제하는 일에 삶을 헌신하고 있는 ‘멀쩡한’ 분들도 사실상 감염군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정치도 마찬가지다. 보수에 대한 비판은 곧 빨갱이 짓이라는 생각, 세상의 현실이 어떠하든 시장(市場)은 옳다는 믿음, 절차가 어떻든 목표가 완수되면 정당하다는 관념, 이 모든 것이 우리를 멘붕에 빠뜨리는 ‘멘탈 연가시’다.
해결책은 있는가? 영화에서처럼 연가시에 모든 사람이 감염되진 않듯이, 멘탈 기생자에 노출되었다고 해서 모두가 감염되지는 않는다는 사실에 희망이 있다. 사실, 인류의 진화에서 큰 뇌가 출현한 이후에 멘탈 기생자가 없는 지적인 환경은 단 한 번도 존재하지 않았다. 우리의 뇌는 그만큼 취약하다. 그러니 멘탈 기생자에 능히 견딜 수 있는 지적 강인함과 감성적 면역력을 키우는 일이 중요하다. 특히 온갖 현란한 구호가 뇌를 유혹하는 요즘에는 말이다.
'교양있는삶 > 사설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읽기] 돌아온 차르 푸틴, 동방에 주목하다 (0) | 2012.08.15 |
---|---|
[노트북을 열며] 화는 입으로부터 온다 (0) | 2012.08.15 |
[특파원 칼럼/이헌진]한중 FTA, 농산물서 양보 받아내자 (0) | 2012.08.15 |
[횡설수설/정성희]여성의 수학실력 향상 (0) | 2012.08.15 |
[이철호의 시시각각] 삼성의 엄살과 질투 경제학 (0) | 2012.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