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는 한국무역협회 최초 여성해외주재원이고, 엑스포 덕분에 무역의 날 국무총리상 타신 대단한 분이심.
GM은 1939년 뉴욕 박람회에서 ‘퓨처라마(Futurama)’란 어트랙션을 선보이면서 잔디 깔린 주택, 안락한 개인 승용차, 한적한 고속도로같은걸 보여줬음. 그 전까지 기업들은 박람회에서 어떻게 제품을 만들어내는지만 보여주는데 급급했는데 GM은 사람들에게 구체적인 미래상을 제시했다고 한다. 지금까지 살아남은 대기업들은 당대 트랜드 세터가 되었던 대단한 스토리 하나쯤은 다들 가지고 있는듯?
'그 평화로운 땅, 그 아름다운 대기, 그 기후, 길고 풍요로운 여름날과 선한 사람들은 변함이 없으리니, 모두 천국에서 잠들고 또다시 천국에서 깨어난다.' - 마크 트웨인
"That peaceful land, that beautiful land... the climate, one long delicious summer day, and the good that die experience no change, for they but fall asleep in one heaven and wake up in another."
우리의 삶에는 시간의 점이 있다. 이 선명하게 두드러지는 점에는 재생의 힘이 있어..... 이 힘으로 우리를 파고들어 우리가 높이 있을 땐 더 높이 오를 수 있게 하며 떨어졌을 때는 다시 일으켜 세운다.
There are in our existence spots of time,
That with distinct pre-eminence retain A renovating virtue, whence, depressed By false opinion and contentious thought, Or aught of heavier or more deadly weight, In trivial occupations, and the round Of ordinary intercourse, our minds Are nourished and invisibly repaired; A virtue, by which pleasure is enhanced, That penetrates, enables us to mount, When high, more high, and lifts us up when fallen
- William Wordsworth,The Prelude.Book 12. 208-218 (1850 edition)
A SOUTH KOREAN saying claims that a stone thrown from the top of Mount Namsan, in the centre of the capital Seoul, is bound to hit a person with the surname Kim or Lee. One in every five South Koreans is a Kim—in a population of just over 50m. And from the current president, Park Geun-hye, to rapper PSY (born Park Jae-sang), almost one in ten is a Park. Taken together, these three surnames account for almost half of those in use in South Korea today. Neighbouring China has around 100 surnames in common usage; Japan may have as many as 280,000 distinct family names. Why is there so little diversity in Korean surnames?
Korea’s long feudal tradition offers part of the answer. As in many other parts of the world, surnames were a rarity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1392-1910). They remained the privilege of royals and a few aristocrats (yangban) only. Slaves and outcasts such as butchers, shamans and prostitutes, but also artisans, traders and monks, did not have the luxury of a family name. As the local gentry grew in importance, however, Wang Geon, the founding king of the Goryeo dynasty (918–1392), tried to mollify it by granting surnames as a way to distinguish faithful subjects and government officials. The gwageo, a civil-service examination that became an avenue for social advancement and royal preferment, required all those who sat it to register a surname. Thus elite households adopted one. It became increasingly common for successful merchants too to take on a last name. They could purchase an elite genealogy by physically buying a genealogical book (jokbo)—perhaps that of a bankrupt yangban—and using his surname. By the late 18th century, forgery of such records was rampant. Many families fiddled with theirs: when, for example, a bloodline came to an end, a non-relative could be written into a genealogical book in return for payment. The stranger, in turn, acquired a noble surname.
As family names such as Lee and Kim were among those used by royalty in ancient Korea, they were preferred by provincial elites and, later, commoners when plumping for a last name. This small pool of names originated from China, adopted by the Korean court and its nobility in the 7th century in emulation of noble-sounding Chinese surnames. (Many Korean surnames are formed from a single Chinese character.) So, to distinguish one’s lineage from those of others with the same surname, the place of origin of a given clan (bongwan) was often tagged onto the name. Kims have around 300 distinct regional origins, such as the Gyeongju Kim and Gimhae Kim clans (though the origin often goes unidentified except on official documents). The limited pot of names meant that no one was quite sure who was a blood relation; so,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king enforced a ban on marriages between people with identical bongwan (a restriction that was only lifted in 1997). In 1894 the abolition of Korea’s class-based system allowed commoners to adopt a surname too: those on lower social rungs often adopted the name of their master or landlord, or simply took one in common usage. In 1909 a new census-registration law was passed, requiring all Koreans to register a surname.
Today clan origins, once deemed an important marker of a person’s heritage and status, no longer bear the same relevance to Koreans. Yet the number of new Park, Kim and Lee clans is in fact growing: more foreign nationals, including Chinese, Vietnamese and Filipinos, are becoming naturalised Korean citizens, and their most popular picks for a local surname are Kim, Lee, Park and Choi, according to government figures; registering, for example, the Mongol Kim clan, or the Taeguk (of Thailand) Park clan. The popularity of these three names looks set to continue.
In Hong Kong, Is Limited Democracy Better Than None?
Specifically, the protests articulate opposition to new election rules in the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effectively giving Beijing “the right to screen candidates for the post of Hong Kong’s top official,” the reporters write. “Starting in 2017, they would allow residents to vote directly for the leader of the city’s government, the chief executive, but a nominating committee dominated by pro-Beijing loyalists would be used to restrict how many and which candidates could enter the contest.”“Thousands of Hong Kong university students abandoned classes Monday to rally against Chinese government limits on voting rights,”reportChris Buckley and Alan Wong for The New York Times, “a bellwether demonstration of the city’s appetite for turning smoldering discontent into street level opposition.”
Hong Kongers are especially resistant to such stringent oversight. Since the city was returned to China in 1997, following more than 150 years of British colonial rule, it has “enjoyed considerable legal autonomy under the ‘one country, two systems’ formula, in which Hong Kong residents retained rights not available elsewhere in China,” The Times reports. Hong Kong’s constitutional document reads, “The socialist system and policies shall not be practiced in the Hong Kong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and the previous capitalist system and way of life shall remain unchanged for 50 years.”
Inan op-edwritten for The Financial Times (registration required), C. Y. Leung, the chief executive of the S.A.R., attempts to paint a picture of a better Hong Kong under Chinese rule. “For the first time, all Hong Kong’s permanent residents, including those who are foreign nationals, are being offered the chance to vote directly for their next leader,” he writes. “The 28 British governors who ruled Hong Kong for a total of 155 years before 1997 were dispatched by the British government without any input at all from the Hong Kong people — or the British people, for that matter.”
Since the transfer of sovereignty, Hong Kong’s chief executives have been selected by a special election committee. And during those years, Hong Kong, “with the full support of Beijing,” has been “working towards achieving universal suffrage.” Beijing has, at long last, offered Hong Kongers the opportunity to select their own leader, and this, Mr. Leung insists, is not a privilege to be scorned. “The question that the Hong Kong people and our legislators need to address now is whether we embrace this opportunity offered by Beijing for major democratic progress, universal suffrage in 2017, or would rather opt for stagnation by retaining the election committee. Do we want to take one step forward or two steps back?”
But pro-Beijing rhetoric, like that of Mr. Leung’s, is intentionally misleading,writeKin-Ming Kwong and Chiew Ping Yew for The Diplomat. “The chief executive hails the election of the city’s political chief by universal suffrage in 2017 as ‘major democratic progress,’ asserting that a rejection of the political reform will be ‘two steps back’ for Hong Kong. But make no mistake about it: to call Beijing’s restrictive framework ‘political reform’ would be a misnomer.”
“Under Beijing’s conservative framework rolled out on August 31 this year, a candidate would have to clear a far higher hurdle to stand in the 2017 chief executive election,” they report. “According to the decision by China’s rubber-stamp legislature, the National People’s Congress, a candidate running for office has to be endorsed by more than half of the members in the 1,200 nominating committee, to be modeled after the existing election committee made up of mostly Beijing loyalists. This high nomination threshold effectively rules out any possibility that a democrat or a candidate not approved by Beijing may have in contesting the 2017 election, ensuring that the five million eligible voters in Hong Kong would only get to choose among two to three pre-vetted candidates.”
The debate over electoral policy in Hong Kong, however, has implications beyond the tiny, densely populated island city. As Evan Osnoswritesfor The New Yorker, the crisis will “likely grow,” determining not only Hong Kong’s political future but also “which political ethic will prevail across China in the years ahead: globalism or nationalism, two fundamentally different conceptions of how China will relate to the rest of the world.”
At Al Jazeera, Kevin Holdenwonderswhether tremors emanating from this tension will inflame historical wounds. “China’s decision to allow the people of Hong Kong to have tightly controlled elections is triggering the formation of a broad-based democracy movement that in many ways resembles the one that was crushed a generation ago at Tiananmen Square,” he says. “Beijing has already begun official denunciations — branding the pacifist protesters as would-be rebels — even as the People’s Liberation Army periodically moves its armored personnel carriers through the streets of Hong Kong.”
This is, perhaps, exactly what mainland officials want,says Stephen Vines, writing for The South China Morning Post. “Beijing’s proposals are designed to foster confrontation and show that the central authorities will not blink when it comes to maintaining tight control over the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he claims.
Similarly, Beijing has cleverly shifted the debate in such a way that frames the expectation for total, unfettered democracy as unrealistic, even childish and impudent. “The usual suspects, who nurture intense dislike for the democratic movement but pretend to occupy the middle ground, have emerged with glee to berate true believers in universal suffrage for not accepting that something is better than nothing,” Mr. Vines explains.
And it is doubtful party officials will stop there. “Against this background, we can understand why Beijing is looking for confrontation to bring Hong Kong people under control,” he says. “Anyone naive enough to imagine that this will be limited to imposing a phony form of democracy clearly knows nothing about how dictators work.”
들어가는 글 왜 남들과 달라야 하는가? 제품의 차이는 며느리도 몰라! | 카테고리 전문가 | 경쟁할수록 평범해지는 이유 | 브랜드 경쟁력의 약화 | 기업들의 꼬리잡기 놀이 | 비즈니스 아웃사이더들의 등장 | 남들과 달라지는 첫걸음
제1부 경쟁하는 무리들
chapter1 경쟁의 본능 경쟁에 대해서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것들 평가 좋아하다가 본전도 못 찾는 이유 | 시장조사를 멀리한 기업이 1등이 되는 이유 | 스타벅스와 맥도날드가 비슷해지는 이유 | 무리 따라 이동하는 철새 vs. 차선을 요리조리 바꾸는 운전자 | 노련한 경영자일수록 함정에 잘 빠지는 이유 | 길이 없을 때 길이 보인다
chapter2 진화의 역설 사람의 심리에 대해서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것들 바뀌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 | 진보가 무조건 좋은 건 아니다? | 제품 진화의 패러다임 | 사람들은 기업의 노력에 별 관심이 없다 | 복권당첨자들이 행복하지 못한 이유 | 브랜드 차별화가 어려워지는 이유 | 보스와 피지 | 질레트와 코카콜라 | 치열한 경쟁에서 남는 것은 오직 자기파괴뿐이다
chapter3 카테고리 평준화 소비에 대해서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것들 소셜 네트워크에서 소비는 개인을 드러내는 무기다 | 까다로운 소비자를 공략하라 | 브랜드 충성도가 감소하는 이유 | 밀러, 쿠어스, 버드와이저는 그냥 맥주일 뿐이다 | 소비의 5가지 유형
chapter4 경쟁 무리에서 탈출하는 방법 ‘다른’ 아이디어가 ‘다른’ 세상을 지배한다 고정관념 뒤엎기, 엉뚱한 가치를 선보여라 | 아이디어 브랜드, 무리를 벗어나 혼자만의 길을 가라 | 창조적 파괴, 미래의 시장을 만들어라
제2부 경쟁은 없다
chapter5 역 브랜드 거대한 흐름에 맞서라 구글과 젯블루, 후발주자가 1등 기업을 뒤집는 비결 | 많이 주는 거보다 적게 주는 게 사람을 사로잡는 이유 | 친절할수록 손님이 도망가는 이유 | 이케아, 불친절한 브랜드가 뜨는 이유 | 거꾸로 가는 전략 | 인앤아웃 버거, 소비자 스스로 찾아오게 하라 | ‘더’가 지배하는 세상에서 사람들은 ‘덜’을 원한다 | 역 브랜드들의 과제
chapter6 일탈 브랜드 소비자들의 심리를 변화시켜라 소니의 마케팅 전략 | 소비자의 심리는 불합리하다는 것을 명심하라 | 아이보, 단점을 장점으로 바꾸는 비결 | 킴벌리, 이건 기저귀가 아닙니다 | 태양의 서커스단과 스와치, 차별화된 포지셔닝의 비밀 | 소비자들의 고정관념에 돌을 던져라 | 알레시, 신기하고 낯선 아이디어가 먹히는 이유 | 카테고리의 경계를 무력화시켜라 | 아이디어 브랜드가 시장을 바꾸는 방법
chapter7 적대 브랜드 고객은 왕이 아니다? 따뜻한 이미지 광고가 안 먹히는 이유 | 적대적인 마케터가 뜨는 이유 | 광고들의 흔한 시나리오 | 미니쿠퍼, 뻔뻔하고 도도한 마케팅 | 레드불·마마이트·버켄스탁 어글리, 싫으면 그냥 떠나세요 | 소비자를 적으로 만드는 전략 | 베이딩 에이프, 당신한테는 안 팔아 | 홀리스터, 손님을 푸대접하라 | 그래도 난 이게 더 좋아 | 베네통, 공포감을 주는 광고 전략 | 오만한 브랜드
chapter8 디퍼런스 승자의 최고 전략 친숙함이 가져다주는 부작용 | 너무 익숙하면 지는 거다 | 치열한 경쟁의 결과는? 도토리 키재기 | 애플, 마니아를 몰고 다니는 이유 | 할리 데이비슨, 유행에 거슬러 유행 만들기 | 도브, 슈퍼 모델보다 아름다운 내 아내 | 차별화, 다시 생각하기 | 진정한 차별화, 쟤 도대체 왜 저러니? | 젊음을 유지하는 비결
제3부 미래의 비즈니스
chapter9 거꾸로 읽는 경영학 시장을 주도하는 사람의 세상 경영법 2%의 아이디어가 세상을 움직인다 | 비슷하면 지는 거다 | 자료에 집착하지 마라 | 혁신의 세 가지 방법 | 모든 아이디어에는 이유가 있다 | 시장을 믿지 마라 | 인간을 이해하라
chapter10 미래의 아이디어 브랜드 차별화는 전술이 아니라 새로운 생각의 틀이다 희귀한 가치의 제안 | 거대한 아이디어의 실천 | 인간적인 숨결
ONE of the most notable demographic trends of the last two decades has been the delayed entry of young people into adulthood. According to a large-scale national study conducted since the late 1970s, it has taken longer for each successive generation to finish school, establish financial independence, marry and have children. Today’s 25-year-olds, compared with their parents’ generation at the same age, are twice as likely to still be students, only half as likely to be married and 50 percent more likely to be receiving financial assistance from their parents.
People tend to react to this trend in one of two ways, either castigating today’s young people for their idleness or acknowledging delayed adulthood as a rational, if regrettable, response to a variety of social changes, like poor job prospects. Either way, postponing the settled, responsible patterns of adulthood is seen as a bad thing.
This is too pessimistic. Prolonged adolescence, in the right circumstances, is actually a good thing, for it fosters novelty-seeking and the acquisition of new skills.
Studies reveal adolescence to be a period of heightened “plasticity” during which the brain is highly influenced by experience. As a result, adolescence is both a time of opportunity and vulnerability, a time when much is learned, especially about the social world, but when exposure to stressful events can be particularly devastating. As we leave adolescence, a series of neurochemical changes make the brain increasingly less plastic and less sensitive to environmental influences. Once we reach adulthood, existing brain circuits can be tweaked, but they can’t be overhauled.
You might assume that this is a strictly biological phenomenon. But whether the timing of the change from adolescence to adulthood is genetically preprogrammed from birth or set by experience (or some combination of the two) is not known. Many studies find a marked decline in novelty-seeking as we move through our 20s, which may be acauseof this neurochemical shift, not just a consequence. If this is true — that a decline in novelty-seeking helps cause the brain to harden — it raises intriguing questions about whether the window of adolescent brain plasticity can be kept open a little longer by deliberate exposure to stimulating experiences that signal the brain that it isn’t quite ready for the fixity of adulthood.
Evolution no doubt placed a biological upper limit on how long the brain can retain the malleability of adolescence. But people who can prolong adolescent brain plasticity for even a short time enjoy intellectual advantages over their more fixed counterparts. Studies have found that those with higher I.Q.s, for example, enjoy a longer stretch of time during which new synapses continue to proliferate and their intellectual development remains especially sensitive to experience. It’s important to be exposed to novelty and challenge when the brain is plastic not only because this is how we acquire and strengthen skills, but also because this is how the brain enhances its ability to profit from future enriching experiences.
With this in mind, the lengthy passage into adulthood that characterizes the early 20s for so many people today starts to look less regrettable. Indeed, those who can prolong adolescence actually have an advantage, as long as their environment gives them continued stimulation and increasing challenges.
What do I mean by stimulation and challenges? The most obvious example is higher education, which has been shown to stimulate brain development in ways that simply getting older does not. College attendance pays neural as well as economic dividends.
Naturally, it is possible for people to go to college without exposing themselves to challenge, or, conversely, to surround themselves with novel and intellectually demanding experiences in the workplace. But generally, this is more difficult to accomplish on the job than in school, especially in entry-level positions, which typically have a learning curve that hits a plateau early on.
Alas, something similar is true of marriage. For many, after its initial novelty has worn off, marriage fosters a lifestyle that is more routine and predictable than being single does. Husbands and wives both report a sharp drop in marital satisfaction during the first few years after their wedding, in part because life becomes repetitive. A longer period of dating, with all the unpredictability and change that come with a cast of new partners, may be better for your brain than marriage.
If brain plasticity is maintained by staying engaged in new, demanding and cognitively stimulating activity, and if entering into the repetitive and less exciting roles of worker and spouse helps close the window of plasticity, delaying adulthood is not only O.K.; it can be a boon.
유능하고 스스로 똑똑하다 자부하는 사람일수록, 성공한 경험이 많을수록 스스로를 과신하다 함정에 빠질 확률은 더욱 높아진다. ‘내 생각에는 틀렸거나 정확히 모르는 부분이 있으며 그 부분을 채우기 위해 배울 준비가 되어 있다’라는 점을 잊지 말아야 계속해서 성장할 수 있다. 이때 공부는 매우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공부는 내가 모르는 것이 무엇인지 점검하는 데서 시작하기 때문이다.
자기계발에 열중하는 사람들, 살아남기 위해, 성공하기 위해 하는 공부는 '인생의 호흡을 얕게 하는 공부'다. 호흡이 깊어지는 공부란 철학, 사학과 같은 인문학, 물리학, 수학, 음악, 미술 등 순수 학문을 공부하는 것을 의미한다.
chapter 1. 세상에 쓸모없는 공부란 없다 -늘 결심만 하고 포기하는 당신에게 -공부하는 사람과 공부하지 않는 사람의 미래는 완전히 다르다 -최고의 자리에 오르게 하는 힘은 어디에서 오는가 -세상에 쓸모없는 공부, 써먹지 못하는 공부는 없다 -내일 죽는다 해도 후회 없는 인생을 사는 법 -공부로 인생의 내공을 키워라
chapter 2. 공부하는 삶이 내게 가르쳐 준 것들 -인생을 이끌어 줄 ‘나만의 책’을 찾아라 -책 읽는 사람은 늙지 않는다 -평범한 샐러리맨이 일본 최우수기업 회장이 된 비결 -공부하는 사람은 인생을 함부로 내버려 두지 않는다 -평생 공부가 내게 가르쳐 준 것들
chapter 3. 무엇을 어떻게 배울 것인가 : 공자와 소크라테스에게 배우다 *공자의 공부법 : ‘배움 그 자체를 즐겨라’ -공부를 즐기면 인생이 바뀐다 -‘사람다움’을 일깨워 주는 공자의 공부 -공자가 제자들에게 가르쳐 준 세 가지 공부 원칙
*소크라테스의 생각법 : ‘생각하고 의심하고 다시 생각하라’ -생각하지 않는 사람은 위험하다 -세상에 어리석은 질문은 없다 -생각의 힘을 키우는 소크라테스식 토론법
chapter 4. 평생 성장하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사이토식’공부법 -평생 공부하게 하는 습관의 힘 -책은 모든 공부의 시작이다 -죽어도 책 읽기가 싫은 사람들을 위한 독서법 -고전을 읽을 때 잊지 말아야 할 것들 -공부가 되는 대화 vs. 시간을 낭비하는 대화 -어떤 수업이든 끝날 때까지 3가지 질문거리를 만들어라 -나를 즐겁게 한 순간을 기록하라 -경계 없이 세상 모든 것으로부터 배워라 -몸에 밴 공부가 진짜다 -최선을 다한 공부는 절대 나를 배신하지 않는다
얼마 전 강남의 유명 성형외과에 들렀다가 ‘xx 整形外科’라는 병원 간판을 보고 원장에게 물었다. 整形外科(정형외과)는 뼈를 다친 사람들이 오는 곳인데 혹시 成形外科(성형외과)를 잘못 쓴 것 아니냐”고. 원장은 “중국에서는 성형외과를 整形外科라고 쓴다”면서 “중국인 고객이 많아 대부분 강남의 성형외과가 이렇게 표기한다”고 했다. 하긴 성형수술이 코뼈 광대뼈 턱뼈를 깎아내는 수준이니 정형이라고 해도 틀린 건 아니겠다. 병원 내부 안내 간판에도 手術中心(수술중심ㆍ수술센터) 등의 병원용어를 한글과 중국식 한자로 병기해 놓았다. 중국어 통역을 고용하는 경우도 있고, 필요할 때마다 수시 호출할 수도 있다고 했다.
요즘 서울 명동거리나 롯데백화점 근처에서 중국인 관광객들을 흔히 본다. 일요일이나 공휴일에는 중국인들이 내국인보다 훨씬 많은 듯하다. 중국인을 실은 관광버스가 줄지어 있고 경찰이 교통정리를 할 정도다. 대형 중국어 백화점 현수막들이 관광객의 눈길을 잡는다. 지하철을 타도 중국어 안내방송이 나온다. 중국어 도로표지판이나 대중교통 안내판도 확충될 모양이다. 한때 명동거리는 일본인 관광객으로 북적거리다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전후로 위안화가 강세를 보이면서 중국인 차지가 됐다.
한국에 중국 바람이 거세다. 각종 통계도 이를 보여준다. 한국을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 수는 2005년 71만명에서 지난해 433만명으로 급증했다. 올해는 600만명에 이를 전망이고 머지않아 1,000만명을 훌쩍 넘을 것이다. 중국관광연구원은 올해 중국인 해외관광객이 1억1,600만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일본 전체 인구 정도가 해외로 관광을 다니는 셈이다. 이들이 해외에 뿌리는 돈만도 162조원이란다. 홍콩과 마카오를 제외하면 지난해 중국 관광객이 가장 많이 찾은 곳이 한국이다.
롯데백화점 본점에는 내국인보다 중국인 매출 비중이 더 높은 매장까지 등장했다. 2014년 상반기 중국 은련카드 매출을 분석한 결과, 중국인 매출비중이 50%가 넘는 매장이 ‘MCM’, ‘라인프렌즈스토어’, ‘모조에스핀’, ‘지고트’ 등 4개였다. 또 올해 상반기 중국인 매출 비중은 15%로 2010년 1%에서 15배나 증가했다. 중국어 구사하는 직원이 300여명이고, 외국인 전용 ‘Global Lounge’도 개설했다.
사실 정부가 그제 발표한 6개 유망서비스산업 투자활성화 대책 중 그나마 실효성이 있을 법한 분야는 관광 쪽이다. 영종도와 제주도 4개 복합리조트사업의 성패도 중국인 관광객 유치에 달렸고, 외국 영리법인 설립을 통해 2017년까지 50만명의 해외 환자를 유치하겠다는 것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싫든 좋든 중국은 우리에게 차세대 성장동력을 제공할 나라다. 제조업과 수출을 통한 경쟁력은 한계에 봉착했다. 대신 서비스업에서 고용을 창출하고 성장을 유지하려면 중국을 지목할 수 밖에 없다. 우리 교역규모에서 중국은 이미 미국을 앞질러 1위에 올라있다. 한국 방문 관광객 수에서 보듯, 중국은 우리의 생산기지를 뛰어넘어 이제 소비기지로 떠오르고 있다. 웨이하이(威海)에서 닭이 울면 인천에서 들린다고, 중국과는 담벼락을 넘나드는 거리다. 인구 14억명의 중국의 도시 인구는 8억5,000만명으로 미국과 유럽 인구를 합한 숫자다. 인터넷가입자 6억명, 모바일가입자가 12억3,000만명이다. 6억명이 넘는 인구가 빈곤에서 벗어났고, 중산층의 수가 미국 인구보다 많다. 이보다 좋은 황금어장은 없다. 용(龍)이 될 수 없으면 용의 등에라도 올라타라고 했다. 그래야 승천(昇天)할 수 있다. 그나마 중국이 용트림을 하기 전이라야 가능할 것이다.
중국전문가 전병서 중국금융경제연구소장은 저서 한국의 신국부론에서 “중국의 상위 5%의 부자 6,500만명의 식탁과 옷장을 장악하면 한국의 4,500만명이 행복하게 살 수 있고, 2억명의 중국 노인들의 건강을 책임질 수 있으면 4,500만명이 30년은 편하게 살 수 있다”고 했다. 그는 “일본을 배우던 1980년대, 미국을 따라 하던 2000년대는 갔고 이제는 미국과 일본에서 배운 노하우를 중국에 팔 때가 왔다”며 “100만명 이상의 중국 전문가를 양성하자”고 제안한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최근 서울대 강연에서 한중우호를 상징하는 인물로 처음 든 것은 서복(徐福)이다. 서복이 누군지 아는 사람은 별로 없다. 기자들도 잘 모르는 이름이어서 그런 것인지, 아니면 적당하지 않다고 봐서 그런 것인지 서복이 거론되지 않은 관련 기사도 많다. 진시황 때 불로초를 찾아 동방으로 갔다는 도사라고 설명하면 ‘아, 그 사람’이라고 할 것이다. 그러나 시진핑은 ‘바다를 건너 제주도로 간 서복’이라고 소개한다.
서복의 얘기야 사마천의 ‘사기’에 나오는 것이니까 그렇다 치자. 그러나 ‘사기’에도 그가 제주도에 갔다는 내용은 나오지 않는다. 다만 제주도에 서복이 와서 문물을 전했다는 전설이 내려오고 있을 뿐이다. 그것이 서복의 얘기에 꿰맞춘 전설인지 어떤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어떤 역사학자도 그걸 진지하게 여기지 않는다.
시 주석은 2006년 저장 성 서기로 있을 때 제주도를 방문한 적이 있다. 그때 이세기 한중친선협회장의 안내로 서복기념관을 방문했다. 서복기념관은 서귀포시가 2003년 중국인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 만든 곳이다. 당시 이 회장이 서복기념관에 가자고 했더니 시 주석은 “왜 그게 중국에 있지 않고 한국에 있느냐”고 물었다고 한다. 그 일이 시 주석에게 무슨 깊은 인상을 남겼는지는 모르겠다. 그러나 ‘중국의 서복’이 아니라 ‘제주도의 서복’은 관광업 진흥을 위해 만들어진 인물이다. 그것을 역사 속의 인물인 것처럼 언급하는 것은 대학에서 할 소리는 아니다. 게다가 한국인이 아니라 중국인이, 서복이 제주도에 간 것처럼 말하면 어딘가 제국주의적 냄새가 난다.
시 주석은 또 한중 양국이 환란에 서로 도운 사례로 임진왜란(정확히는 정유재란) 때 명나라 장군 등자룡(鄧子龍)이 이순신 장군과 함께 노량해전에서 싸우다 전사한 사실을 들었다. 등자룡의 상급자인 명나라 제독 진린(陳璘)의 후손이 진씨 성을 갖고 한국에 살고 있다는 사실도 덧붙였다.
틀림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이순신 장군의 승리에 중국이 큰 도움을 줬다는 듯이 말하는 것은 아무래도 듣기 거북하다. 진린은 전투에는 소극적이고 공적에 욕심이 많았던 인물이다. 그는 이순신 장군이 자신의 전과를 몇 차례 양보한 후에야 이순신 장군과 화해할 수 있었다. 그가 중국에서 끌고 온 배는 작아서 전투에 쓸모가 없었고 조선 수군의 판옥선을 빌려 타야 하는 신세였다. 노량해전에서 이순신 장군은 왜적과 싸우는 데 써야 할 병력의 일부를 왜적에 포위된 진린을 구하는 데 쓰지 않을 수 없었다.
시 주석이 거론한 인물 중에서 또 한 명 거슬리는 것은 정율성(鄭律成)이다. 정율성이 한국에서 태어나 중국에서 이름을 날린 몇 안 되는 근현대사의 인물임에 틀림없다. 그를 한중우호의 상징적 인물로 거론하는 데 전혀 반대하지 않는다. 다만 시 주석이 그를 한국인들 앞에서 ‘중국인민해방군가’를 작곡한 정율성으로 소개한 것은 예의에 어긋난다. 한중이 지금은 평화를 모색하고 있지만 중국인민해방군은 6·25전쟁 때만 해도 우리 측에 많은 피를 흘리게 한 적군이었다. 정율성이 중국인민해방군가를 작곡했다고 소개하지 않아도 달리 소개할 방법이 있었을 것이다.
중국은 사실 한국을 잘 모른다. 잘 알려고도 하지 않는다. 한국에서나 중국을 알려고 야단이지 중국에서 한국은 국경을 인접한 많은 나라 중 하나일 뿐이다. 중국 정치인의 외교적 수사만 듣다가 역사 강의 같은 강연을 들으니 그것이 확실해졌다.
중국 지도자의 한국 대중 강연은 처음이다. 친근해지려는 의지는 전달됐다. 다만 친근함이 의지만으로 되지 않는다. 남이 어떻게 느낄지 미리 알아서 배려해 말할 수 있어야 진짜 친근한 것이다.
문창극 전 국무총리 후보자 못지않다. 김수현 전지현에 대한 역사관 검증도 혹독하다. ‘별에서 온 그대’로 중국에서 사랑받고 있는 두 배우는 헝다그룹의 생수 광고 모델 계약을 했다가 ‘물벼락’을 맞았다. 원산지가 백두산의 중국 명인 ‘창바이산(長白山)’으로 돼 있음을 확인한 사람들이 “중국의 동북공정에 놀아났다”며 들고일어난 것이다. 둘은 “취수원까지는 확인 못했다”며 고개를 숙였지만 한쪽에서는 여전히 “한류 스타가 아니라 한류 망신”이라며 혀를 찬다. 농심이 중국 백두산을 취수원으로 하는 생수를 생산하면서 제품명을 ‘백두산수’도 ‘장백산수’도 아닌 ‘백산수’로 정한 것이 얼마나 절묘한 선택인지 감탄하게 된다.
김수현 전지현의 중국 생수 CF 논란을 보면 걸그룹 카라의 ‘독도 침묵’ 사건이 떠오른다. 일본에서 인기 있는 카라는 2012년 “일본에서 독도 관련 질문을 받는다면?”이라는 국내 매체의 질문에 즉답을 피했다가 ‘친일’ 걸그룹이라는 낙인이 찍혔다. 카라에서 탈퇴한 멤버 지영이 최근 일본에서 연기자로 데뷔한다는 소식에 국내 반응은 냉랭한데 “카라가 친일적이어서”라는 것이 일본 언론의 해석이다.
카라의 독도 사건은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 방문으로 한일 관계가 냉랭할 때 일어났지만 이번 생수 논란은 한중 지도자 사이에 봄바람이 부는 가운데 터졌다. 양국 관계가 어떻든 역사나 영토 논쟁은 큰 화재를 일으킬 수 있는 뜨거운 불씨인 것이다.
하지만 한류 스타에게 “백두산은 누구 것?” “독도는?”이라고 묻는 게 현명한 일일까. 한중일이 서로에 중요한 교역국이듯, 한류도 국경을 넘나들며 유통되는 글로벌 상품이다. 중국 최대 검색엔진 바이두가 쏟아내는 한류 관련 소식은 130만 건으로 네이버(38만 건)의 3배가 넘는다. ‘별그대’의 엄청난 경제 효과는 ‘별그대노믹스’로 불린다. 요즘은 잘생긴 남자 배우가 의사로 나오는 ‘닥터 이방인’을 보고 의료 관광을 오는 중국인도 있다. 걸그룹 2NE1, 보이그룹 빅뱅을 비롯해 케이팝 스타들은 세계 2위 규모이며 케이팝 시장보다 20배 큰 제이팝 시장(일본)에서 오리콘 차트의 역사를 새로 쓰고 있다.
이들에게 역사관을 묻는 것은 해외 활동을 포기하라는 말과 같다. 2012년 독도 횡단 수영대회에 참가했던 한류 스타 송일국은 일본 외무성 차관이 “앞으로 일본에 오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언급해 국내에서는 ‘개념 배우’로 박수 받았지만 이 일로 일본 땅을 못 밟는 연예인이 돼버렸다.
한류는 외교적인 힘까지 발휘한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부인이 “한국 드라마 팬이에요”라고 했을 때 반일 감정이 잠시나마 누그러졌던 기억을 떠올려 보라. 권영세 주중 대사는 “한중이 가까워지고 있음을 여러 지표를 통해 알 수 있다”면서 대표적인 사례로 드라마 ‘상속자들’과 ‘별그대’의 인기를 꼽았다. 2008년 후진타오(胡錦濤) 전 중국 국가주석 방한 때 이영애 장나라가 그러했듯, 3일 시진핑(習近平) 주석 내외가 오면 김수현 전지현이 국빈 만찬에 초대받을 가능성도 있다.
싸울 때 싸우더라도 화해의 여지를 남겨두려면 경기장에서 그러하듯 문화 영역에서도 정치적 표현은 삼가야 한다. 양국 간 정치적인 관계가 냉랭하든 열렬하든 문화 교류는 뜨거운 것이 좋다. 정랭문열(政冷文熱) 혹은 정열문열(政熱文熱)이다. 총리 시킬 것도 아니면서 전지현에게 역사관을 묻지 말아야 하는 이유다.
며칠 전 재미있는 신문기사를 보았다. 꾸준히 노력하면 누구든 정상에 오를 수 있다는 ‘1만 시간의 법칙’이 실은 틀린 이야기라는 것이다(본지 7월 17일자). 1만 시간 노력하려면 하루 3시간, 일주일 20시간씩 총 10년이 걸린다. 그러나 미국 연구팀이 노력과 선천적 재능의 관계를 연구한 결과 많은 분야에서 타고난 재능이 노력보다 훨씬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고 기사는 전한다. 음악에서는 재능 79%, 노력 21%고 스포츠는 재능 82%, 노력 18%였다. 학술 분야는 더 심해서 96대 4 비율이었다. 공부하는 머리는 타고난다는 얘기가 맞는가 보다. 어제 정상급 피아니스트 손열음씨를 만난 김에 “음악에서 재능이 79%, 노력 21%라는 게 맞느냐”고 물어보았다. “그런 것 같다”며 “재능을 드러낼 기회가 훨씬 적었던 옛날에는 아마 90% 정도로 비중이 더 높았을 것”이라고 답했다.
“천재는 1%의 영감(靈感)과 99%의 노력으로 이루어진다”는 에디슨의 명언도 사실은 ‘99%의 노력도 단 1%의 영감 없이는 소용없다’는 뜻이라고 한다. 타고난 재능이 그토록 결정적이라면 우리 같은 범인(凡人)들 입장에선 맥이 풀릴 수밖에 없다. 노력하면 뭐하나. 이미 날 때부터 유전자에 성공 여부가 새겨져 있다는데 말이다. 이달 초 도쿄 국제도서전에 갔다가 사 온 신간 한 권이 이런 인간불평등 기원론(?)을 부추겼다. 제목은 『노력불요론(努力不要論)』. 의학박사이자 뇌과학자인 나카노 노부코가 쓴 책으로, 제목 그대로 ‘쓸데없이 노력할 필요 없다’는 내용이다. 자기 주제를 파악하지 못하고 무작정 노력부터 하고 보는 ‘노력 중독자’는 남에게 이용만 당하거나 피해를 끼치기 십상이라고 주장한다. 일본인은 특히 ‘노력신앙’을 가진 ‘노력교(敎)’ 신자가 많아 큰일이라고 걱정한다. 제2차 세계대전에 뛰어들어 패한 것도 대책 없이 노력과 정신력만 강조하던 지도자들 때문이라고 일갈한다.
식민지와 전쟁의 폐허를 딛고 60년 넘게 줄달음쳐 온 우리나라도 노력 숭배주의라면 지구상 어느 나라 못지않다. 초등학교 시절부터 책상 머리에 ‘노력 끝에 성공’ ‘노력은 성공의 어머니’를 붙여 놓았으며, 좀 커서 한자라도 배우면 ‘苦盡甘來(고진감래)’로 글귀를 바꿔 달았다. 노력신앙의 단짝은 결과지상주의였다. 겨울철 유엔군 묘지에 보리를 옮겨 심어 파란 잔디처럼 보이게 했다는 기업인의 임기응변이 자랑스러운 신화로 기록되었다. ‘하면 된다’의 시대였다. ‘안 되면 되게 하라’가 특전사 병영을 넘어 사회 구석구석까지 울려 퍼졌다.
이미 젊은이들은 속지 않는다. 노력이 다가 아니라는 것을 잘 알고 있다. 노력 이외의 요인이 작용한다는 사실을 너무 잘 아는 듯해 걱정될 정도다. 사회가 그렇게 변했다. 고도성장은 끝났고 당대 성공신화는 더 이상 쓰이지 않는다. 서울에서 내 집은 고사하고 전세금을 마련하는 데도 6년치 월급을 한 푼도 안 쓰고 모아야 한다. 국민의 57.9%가 ‘일생 동안 노력해도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 가능성이 낮다’고 생각하고 있다(통계청, 2013년 사회조사). 사회 역동성, 계층 상승 가능성이 현저히 줄어드니 젊은이들이 소개팅에서 상대 부모의 직업과 사는 동네부터 묻는다는 슬픈 이야기가 나돈다. 이제 평강공주는 온달을 찾지 않고, 왕자는 신데렐라를 거들떠보지도 않는다.
기성세대가 ‘하면 된다’ 시대의 관점에서 벗어나 근본적인 발상의 전환을 할 시점인 것 같다.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목표만 이루면 된다는 결과지상주의에서 벗어나 원칙과 상식을 앞세우는 시대로 진입해야 한다. 나는 박근혜 대통령이 말한 ‘비정상의 정상화’도 이런 사고의 틀 전환을 전제로 한 것이길 바란다. 빨리빨리와 대충대충을 버리고, 잔뜩 힘준 어깨를 눅이고 눈에 서린 핏발은 풀고, 무리하게 앞지르거나 끼어들지 않는, 상식이 통하는 사회 말이다. 더뎌도 차근차근 나아가는, 무엇보다 서로 존중하고 배려하는 사회로의 대전환이다. 비록 짜릿한 성공담과 기막힌 반전은 적을지라도 한 차례 애를 쓰면 딱 그만큼 결과가 나오는 게 일반적인 풍경이었으면 좋겠다. 결과에만 목을 매 무리와 편법·탈법, 집단 간 유착이 일상적으로 벌어지는 사회와는 이별해야 한다. 원래 안 되는 것은 누가 해도 안 되고, 억지로 되게 하려다간 도리어 된통 당해야 마땅하다.
정당한 노력이라면 왜 쓸모가 없겠는가. 자기 파악 못 하고 남 배려 안 하고 잇속에 눈이 멀어 무리를 범하니 언젠가는 사달이 나는 것이다. 우리는 하면 된다는 낡은 신화에 안주하다가 밀렸던 청구서가 쏟아지는 시점에 처해 있다. 그 와중에 가엾은 아이들만 희생된 듯해서 마음이 아프다. 내일은 세월호 참사 100일째다.
독일 자동차의 TV 광고는 유사한 패턴을 보여준다. 날렵한 차 한 대가 울창한 숲길을 순식간에 가로질러 고풍스러운 저택 앞에 사뿐히 멈춰 선다. 바로 그때 다른 익숙한 자동차 브랜드에선 볼 수 없는 독일 차 특유의 정교함을 자랑하는 독일의 독보적인 엔지니어링 기술에 대한 설명이 뒤따른다.
이런 광고는 독일이 구텐베르크에 의한 세계 최초의 대량 성경 인쇄에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과학과 엔지니어링의 놀라운 전통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누구나 알고 있기에 먹힌다. 어디 그뿐인가. 막스 플랑크,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그리고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최초의 컴퓨터를 발명한 콘라트 추제 등 걸출한 과학자를 배출한 나라가 바로 독일이다. 독일의 엔지니어링 기술 수준은 그런 광고를 보는 사람에게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익히 알려져 있다. 간단히 말하면 독일 엔지니어링은 따로 주석을 달지 않아도 될 만큼 신뢰가 구축돼 있다는 말이다.
한국산 자동차는 지난 10년간 세계 시장에서 놀라운 성장을 기록한 덕분에 유럽에서도 한국 차 애호가가 많다. 그렇다고 해서 한국 자동차업계가 독일처럼 제품 광고를 할 수는 없다. 대부분의 서구인은 한국 문화가 중국이나 일본과 어떻게 다른지 모른다. 더군다나 1990년대 이전만 해도 한국의 과학·기술과 선진국 사이에는 괴리가 컸다.
그러나 한국이 가진 기술적 우수성의 뿌리는 깊다. 문제는 그처럼 훌륭하고 오랜 전통에도 불구하고 서구에는 그런 전통이 알려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사실 한국의 그런 전통을 아는 사람은 미국 대학에서 일하는 소수의 사람뿐이며, 이들이 영어로 쓴 글도 대개는 학자들을 대상으로 학회지에 실린 것이다.
우리는 한국의 기술적 우월성을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문화의 일부로 만들어야 한다. 한국인은 그렇게 할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스스로 그렇게 해야 한다. 한국인이 자신들의 우수한 문화가 서구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점을 개탄할 때마다 나는 솔직히 이렇게 말해준다. 요즘 시대에는 한국의 문화가 원래 탁월했으므로 외국인들이 자동적으로 한국을 이해해 줄 것으로 기대하는 것은 금물이라고 말이다. 한국은 외국인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자신들의 문화를 체계적으로 알려야 한다.
이 작업과 관련해 두 가지 가능한 해법을 제시하려 한다.
첫째, 15세기 조선의 위대한 과학자이자 발명가인 장영실의 삶을 장편영화로 만들어 전 세계 관객에게 보여주는 일이다. 미천한 노비 출신의 장영실이 어떻게 당시의 끔찍한 차별을 극복하고 진귀한 해시계·물시계·혼천의뿐만 아니라 세계 최초의 측우기까지 만들게 됐는지 그 과정을 사실적으로 보여준다면 세계에 한국 기술의 뿌리를 알리는 데 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이런 영화가 제작된다면 세계인들에게 기존의 한국 제품 광고보다 훨씬 더 크고 지속적인 반향을 불러일으키지 않을까.
둘째는 세종대왕이 고리타분한 관료들과 치열하게 싸우면서 개혁을 통해 민초의 점증하는 욕구에 부응하는 교육기관을 세우는 과정도 세계 유력 작가의 손을 거친다면 훌륭한 영어소설로 재탄생할 수 있지 않을까. 만일 조선 과학기술의 황금기에 초점이 맞춰진 그 소설이 세계적인 베스트셀러가 된다면 국제사회에 한국에 대한 인식을 영원히 바꾸게 될지 모른다. 그 책이 일단 미국 작가의 손을 거쳐 미국 독자를 겨냥해 쓰인다면 세종대왕과 그의 위대한 정신을 전 세계에 알리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과학 분야에서 한국의 놀라운 성취가 전 세계적으로 알려진다면 현재 한국의 기술적 성취가 단지 지난 몇십 년간 갑자기 이뤄진 게 아니라 유구한 전통의 결과임을 웅변해 줄 수 있지 않을까 싶다.
과학과 기술 분야에서 한국의 우수성은 허구가 아님에도 실제로 많은 한국인은 그런 사실 자체를 잘 모르는 듯하다. 한국이 지난 60년간 거둔 눈부신 발전을 널리 알리는 과정에서 한국의 기술적·과학적 뿌리가 어떻게 근대화의 중추적인 근간이 됐는가 하는 점은 거의 무시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현재까지는 한국이 꾸준한 노력을 통해 선진국 반열에 오른 점만 부각시키면 됐지만 이제부터는 한국의 기술적 전통의 연속성을 강조하는 편이 더 낫다. 다시 말해 느닷없이 한강의 기적을 이룬 게 아니라 바로 그런 연속성이 오늘의 발전을 가능하게 했음을 부각시킨다면 국제사회에 더 많은 신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일단 그렇게만 된다면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한국의 우수성을 이야기해도 고개를 갸우뚱하는 세계인은 아마도 확 줄어들 것이다. 그러나 한국이 지금처럼 새로운 기술을 개발만 해서는 국제사회에서 그 같은 지위를 확보하기 어렵다. 지난 10년간 한국 과학자들은 놀라운 기술적 성과를 거뒀다. 그러나 그것만으로는 한국을 아시아 다른 나라들과 차별화하는 데 큰 도움을 주지 못했다. 만일 한국이 자신의 역사와 문화를 설득력 있게 또 효과적으로 세계인들에게 소개할 수만 있다면 한국은 분명 우뚝 설 것이다.
‘내가 지금 탄 세월호, 나는 갔어야 됐어 네스호/ 이런 미친놈들의 항해사, 너 때문에 나는 즉사/ 이런 길 속에 나는 묻혀, 넌 나를 못 쳐/ 내가 니들 뺨을 쳐? 니들은 내 등을 쳐/ 우리가 출발예정시간 여섯시 삼십분, 우리가 출발예정시간 여섯시 삼십분/ 우리가 출발한 시간은 여덟시 이런 씨발, 니들이 그따구로 이 배를 운전?/ 지금 배는 85도, 내 머릿속 온도는 지금 100도.’
고3이면서도 힙합 오디션 프로인 <쇼미더머니>를 본방사수하며 관련 기사나 댓글까지 다 찾아 들려주는 내 아들의 모습이 겹쳐 더 그런지 모르겠다. 단원고 2학년 6반 김동협군은 평생 마음에서 지워지지 않을 것 같다. 지난 17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처음 공개된 휴대전화 동영상에서 동협이는 말했다. “내가 왜 수학여행을 와서, 나는 꿈이 있는데, 나는 살고 싶은데 이 썅.” 그도 꿈이 래퍼였을까? 침몰 상황을 중계하듯 전하던 동협이는 “마지막으로 제 라임을 한번 뽐내야겠습니다” 하며 랩을 남겼다.
40일 넘게, 적잖은 <한겨레> 사람들은 비슷한 증세를 보이고 있다. 박재동 화백이 그린 단원고 학생들의 초상캐리커처와 사연, 가족들의 편지를 싣기 시작하면서다. 제작된 다음날 지면을 점검하는 저녁 편집회의에서 ‘잊지 않겠습니다’를 확인하다 눈가가 젖으면 서로 못 본 체하고, 아침에 집으로 배달된 신문에서 같은 기사를 다시 읽다가 눈물을 흘린다.
원통해하는 가족들에 대한 가슴 아픔과 지지부진한 진상규명에 대한 분노가 뒤엉킨 감정 속에, 새삼 느낀 건 정말 아이들의 꿈이 이렇게 많구나라는 점이다. 이종격투기 대회 출전을 계획했던 홍래, 메이크업 아티스트를 꿈꾸며 미용대회에 나갈 재료비를 아껴놨던 혜경이, 유니세프 같은 국제기구에서 일하길 바라던 하영이, 여군 장교가 되겠다던 주이, 작곡가가 되려던 승묵이…. 그동안 우리는 주변에서 너무나 흔하게 ‘요즘 애들은 자기 꿈이 없어’라는 말을 들어왔다.
몇주 전 큰아들 학교 입시설명회에 다녀왔다. 실용음악학원의 실기 연습도 버거운 아이가 다른 학과까지 지원해 합격할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마지막’이라는 문자에 쫓기는 심정이 됐다. 수능 외에 학생부 교과, 학생부 전형, 논술모집, 적성고사… 여기에 수시와 정시의 경우와 과별, 과목별 반영비율까지 고려하면 경우의 수는 꼽기도 힘들다. 그래도 설명회에 나온 선생은 한번의 학력고사 점수로 결정되던 예전에 비해 학생들에게 다양한 기회가 생긴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럴 수도 있겠다 싶었다. 하지만 대학별 점수표와 ‘합격 사례’로 가니 막막하다. 학원이나 학교에서 제시하는 표 안에서 과목별 1, 2등급 이외 학생들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전체 학생의 89%인 3~9등급 대다수 아이들의 ‘꿈’은 이 표에서 도무지 찾아볼 수 없다.
대학만이 길은 아니라고 누구나 쉽게 말한다. 그러면서도 이 사회와 학교는 중·고교 시절 6년 내내 대부분의 학생들을 서울 및 수도권 대학을 목표로 전력질주시킨다. 이런 속에서 아이들이 자신의 꿈에 대해 얼마나 자부심을 갖고 진지하게 고민할 수 있을까. 학생들의 자기소개서나 논술답안이 학원에서 베껴온 듯 똑같다고 교수들은 불평하지만, 아이들의 다양한 꿈을 덮어버리는 건 주요과목 점수가 높은 학생들을 끌어들이려 교묘히 짜놓은 입시전형 쪽이다.
열일곱살 250개의 꿈을 떠나보내고서야 깨달았다. 이 많은 꿈을 왜 몰랐을까. 지금 이 땅의 아이들이 등급이 아니라 하나하나 자신의 꿈을 드러내며 살 수 있도록 하는 것, 이 또한 세월호 아이들을 잊지 않는 길 아닐까.
휴가철이다. 최근 사석에서 만난 20, 30대 직장인들과의 대화는 세상의 급변을 실감케 했다. 지난달 일찌감치 친구들과 싱가포르로 여름 휴가를 다녀온 A씨는 어느 때보다 만족감이 컸다고 한다. 주머니 사정이 넉넉지 않아 비싼 레스토랑이나 호텔 대신 로컬 음식을 맛볼 수 있는 ‘밀쉐어링(mealsharing.com)’과 온라인 숙박 공유 사이트 ‘에어비엔비(airbnb.com)’를 이용한 덕분이란다. 밀쉐어링 서비스는 현지 가정에서 돈을 주고 ‘집 밥’을 먹을 수 있는 시스템이다. 시간과 날짜는 음식을 제공하는 가정에서 정하는데, 가고 싶은 집을 선택해 사이트에 올라있는 음식사진과 가격을 골라 예약하면 된다. 세계 각지에서 온 낯선 이들과 인사를 나누고 오순도순 식사도 할 수 있는 점이 매력이란다. 숙박은 에어비앤비를 활용했는데, 집 주인을 직접 만나지 않고도 예쁜 2층 단독주택의 비밀번호를 받아 자유자재로 드나들 수 있었다. 비용도 기존 유스호스텔이나 민박보다 저렴했다. 사이트에 해당 주택을 먼저 다녀간 사람의 후기도 적혀 있어 믿고 이용할 수 있었다고 한다.
동석한 B씨의 이야기는 더 놀라웠다. 경기 화성시 동탄에 사는 그녀는 회사가 있는 서울 강남까지 ‘이버스(eBUS)’로 출퇴근한다. 지난해 하반기에 국내에 등장한 이버스는 이용자들이 홈페이지에 접속해 정원을 채워 신규노선을 만들면 된다. 직장 위치가 비슷한 동네 사람들이 인터넷에 모여 자발적으로 버스노선을 만들었다는 소식을 듣고 가입했다고 한다. 현재 동탄-강남, 동탄-서울역 2개 노선이 출퇴근 시간대만 하루 3회씩 운영되는데, 강남 노선은 만석일 정도로 인기가 높다. 현행법상 면허 없이는 여객주선업을 할 수 없어 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는 자회사인 전세버스사업자로부터 위탁 받는 형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일종의 편법인데, 위법은 아니다.
인터넷과 모바일, SNS를 통해 촘촘히 연결되고 있는 사회에서 소비자의 차별화된 욕구에 부응해 다양한 서비스들이 나타나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를 ‘공유경제’라 부른다. 2008년 미 하버드대 로렌스 레식 교수가 쓴 개념인데, 비어 있는 집이나 세워 둔 차량 등 물적 자산뿐 아니라 재능ㆍ경험 등 인적 자산까지도 필요한 사람과 공유(sharing)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살면서 소유해야 하는 건 생각보다 많지 않다”는 사고가 출발점이다. 이를 공유경제로 칭하든, 신종 렌탈 비즈니스로 표현하든, 정보통신(IT)기술 덕분에 지구촌이 24시간 연결되면서 생긴, 시대적 현상임은 분명해 보인다.
문제는 이들 서비스가 기존 사업자들의 이해관계와 충돌한다는 점이다. 대표적 사례가 최근 모바일 차량 공유 앱(App) 서비스인 ‘우버’(UBER)다. 2010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시작돼 전 세계로 번지고 있는 이 서비스는 주변의 일반 차량을 콜택시처럼 불러 이용할 수 있다. 나라와 도시 별로 “기존 법규를 허무는 불법” 혹은 “혁신적 합법 서비스”로 판결이 엇갈리는 가운데, 전 세계 택시운전사들이 자신들의 밥줄이 끊긴다며 들고 일어나고 있다. 얼마 전 미국 뉴욕주 검찰이 “손님을 빼앗아 간다”는 호텔업계의 강력한 항의로 에어비앤비에 가입한 건물주들을 단속한 것도 비슷한 맥락이다.
중요한 건 규제당국의 자세다. 기존 규제를 엄격히 적용하느냐, 아니면 이를 완화ㆍ해체해 혁신의 물꼬를 터주고 북돋우느냐에 그 사회의 명암이 갈린다. 간과해선 안 될 건 외견상 기존사업자의 영역을 침범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은 기술발달로 인해 새롭게 열리는 시장이라는 점이다. 밀쉐어링이 등장했다고 기존의 레스토랑이 망한다는 건, 이버스가 나왔다고 대중교통 노선이 없어진다는 건 어불성설이다.
혁신은 본질적으로 정치적이다. 시장을 선점한 기득권층의 이해관계를 흔들어 놓는다. 때문에 혁신의 성공은 늘 혁신을 바라보는 규제당국의 긍정적이고 새로운 시각을 요구한다. “공유하라, 그리고 기존의 칸막이를 파괴하라”는 슬로건으로 대표되는 네트워크사회의 새로운 비즈니스 생태계를 뒷받침할 규제혁신이 필요한 시점이다. 최경환 새 경제팀이 경제활성화를 고민한다면 잊지 말아야 할 포인트가 아닐까 싶다.
지난 주말 일본에 다녀오는 길에 일본이 우리에게 주는 교훈을 새삼 새겨보게 되었다. 거품(버블) 붕괴 이후 지난 사반세기 동안 일본은 장기적인 침체를 겪고 있다. 매년 엄청난 적자를 내고 있는 간사이공항에서 아직도 남아있는 거품의 후유증을 확인할 수 있었고, 삼성 휴대폰을 샀더니 일본 친구들이 ‘불쌍한 소니 거 사주지 왜 안 그래도 잘나가는 삼성 거 샀냐고 뭐라 하더라’는 한 동포의 농담에 일본인들의 어려움이 묻어나왔다. 소위 ‘해석개헌’을 통해 일본의 군사대국화를 꾀하는 움직임도 일본 경제의 장기적 침체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일본 경제의 문제는 무엇인가? 거품의 후유증도 있었고, 엔화 강세로 인한 제조업 경쟁력 저하도 있었고, 누적된 재정적자로 인한 미래에 대한 불안심리도 작용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런 문제들은 그다지 커다란 장애가 되지는 않았다. 거품 붕괴는 까마득한 옛날 얘기고, 환율은 부침이 있었으며, 거대한 재정적자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국채금리는 지극히 안정되어 있다. 규제가 많아서 문제니 규제완화를 해야 한다는 주장도 많다. 지난 20년 동안 수도 없이 외쳤고, 아베 내각도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규제완화를 통해서 경제성장이 눈에 띄게 올라갈 리 만무하다. 사실 일본이 엄청난 거품경제에 휩싸이게 된 까닭이 바로 80년대 중반 나카소네 내각의 무분별한 규제완화였던 것을 상기하면 이러한 규제완화론은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일본 경제문제의 핵심은 인구문제다. 인구 정체와 고령화에 의해 잠재성장률 자체가 매우 낮아졌다. 인구문제를 빼고 보면 일본 경제의 성과가 나쁘지 않다. 1990년부터 2007년에 이르는 기간 동안 15살에서 64살까지의 경제활동인구 1인당 소득의 증가율은 1.2%로서 여느 선진국보다 못하지 않다. 2008년 이후 글로벌 금융위기의 타격이 심했던 만큼 최근의 회복세도 강하다. 다시 말해 일본 경제가 오랫동안 침체되어 보이는 것은 경제활동인구가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지 이들의 생산성이 떨어지기 때문은 아니라는 것이다. 거꾸로 말하자면, 일본처럼 인구가 정체되고 고령화가 진행된다면 온갖 경기부양이나 성장정책이 먹혀들 여지가 없어진다.
한국은 과거 일본보다 더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니 걱정이 아닐 수 없다. 마침 이런 고민을 하는 가운데 귀국하여 처음 접한 뉴스가 “한국 출산율 세계 최하위”라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건 조금 선정적인 헤드라인이고, 그 내용은 16일 발표된 미국 중앙정보국(CIA)의 월드팩트북(The World Factbook)에 따르면 올해 추정치 기준으로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1.25명에 그쳐 분석 대상 224개국 중 219위였다는 것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서는 한국이 꼴찌였다고 한다. 일본은 1.40명으로 208위를 차지해서 우리보다는 조금 나았다.
그럼 도대체 어떤 나라들이 출산율이 낮은 것일까? 크게 보아 소득수준이 올라가면 출산율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는데, 일정한 소득수준을 넘어선 나라들 사이에서는 문화와 정책의 차이에 의해 커다란 편차가 나타난다. 우리보다 출산율이 낮은 나라들은 싱가포르, 마카오, 대만, 홍콩으로서 이들이 모두 동아시아의 부유한 경제라는 사실은 매우 흥미롭다. 사회복지가 부실하여 아이 낳아 기르기가 부담스럽고, 여성차별 때문에 출산과 자아실현을 동시에 이루기 어려운 나라들이다. 젊은 여성들이 출산파업으로 항의하고 있는 것이다.
새 경제팀이 경제의 활력을 살리겠다고 한다. 출산파업을 해결하지 않는 한 백약이 무효일 것이다.
필자가 여태까지 들은 노엄 촘스키의 명언 중 이 말은 가장 생생하게 기억에 남는다. “최악의 학살자는 현장에서 직접 살인을 벌이는 졸개들이라기보다는, 멀리에서 정장을 입고 조용한 사무실에 얌전히 앉아 있는 고학력자 출신의 지휘자다.” 이번 세월호 학살도 마찬가지다. 주류 언론들이 도망친 선장 등에게 비난의 화살을 돌렸지만, 비정규직이기도 한 선장은 촘스키가 이야기한 ‘졸개’에 불과했다. 고물 선박 구입과 관련된 규제를 풀고 선박에 대한 감독을 해운업자 조직에 맡기는 등 과적 운항을 상습화시킨 ‘조용한 사무실에서의’ 관피아야말로 이 학살의 원흉임을 이제는 삼척동자도 알게 된 것이다.
세월호 참사에서 관피아보다 훨씬 더 그늘에 가려 있는 초대형 조직은 바로 학피아, 즉 정부·기업들과 긴밀히 유착돼 있는 학계다. ‘규제완화’ 등 관피아가 추진하는 범죄적 정책들의 골간을 학피아가 만들어내고, 곡학아세하면서 합리화하기에 이번 학살의 원인을 논할 때 학피아를 빠뜨릴 수 없다.
그러나 관피아와 함께 이 학살이 일어나도록 공을 들였으면서도, 관피아보다 훨씬 더 그늘에 가려 있는 초대형 조직은 바로 학피아, 즉 정부·기업들과 긴밀히 유착돼 있는 대학가 내지 학계다. ‘규제완화’ 등 관피아가 추진하는 범죄적 정책들의 골간을 학피아가 만들어내고, 곡학아세하면서 합리화하기에 이번 학살의 원인들을 논할 때 학피아를 빠뜨릴 수 없다. 하지만 국내는 아니지만 일단 대학 교원인 나 자신에 대한 반성문을 쓰는 입장에서 학피아 문제를 본격 거론하기 전에 몇가지 단서를 달아야 할 것이다.
첫째, 나는 국내 대학의 모든 정규직 교원들을 뭉뚱그려 ‘학피아’로 보려 하지 않는다. 그들 중에서도 주류에의 편입을 거부하고 노동운동에 앞장서는 ‘작지만 큰’ 용감한 소수는 있다. 하지만 변혁을 지향하는 소수는 있다 하더라도 하나의 조직체로서 학계·대학가는 대한민국에서 신자유주의 도입의 전위대 노릇을 해왔다. 또 밑에서 자세히 이야기하겠지만, 대학사회만큼 신자유주의 원칙이 철저히 적용되는 곳도 드물다.
둘째, 대한민국 학계라고 해서 꼭 특별한 것은 아니다. 정학(政學)·경학(經學) 유착은 세계적인 현상이다. 우리 식민 모국을 보라. 이미 1969년에 촘스키는 베트남 침략의 원흉으로 아서 슐레진저(1917~2007)나 새뮤얼 헌팅턴(1927~2008)처럼 ‘효율적인 제3세계 개입을 위한 조언’을 아끼지 않았던 어용 ‘정치학자’들을 지목했다. 1973년에 촘스키가 조사한 바에 의하면 정치외교학 계통 논저의 95% 정도는 미국 재벌기업의 이해관계와 대외정책의 연관성을 언급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학자들이 재벌들 앞에서 이 정도로 ‘얌전하게 구는’ 데는 당연히 대학가의 이해관계가 있다. 전체 미국 대학이 수령하는 연구비의 약 60%를 재벌이 움직이는 국가가 대주고, 약 6%를 사기업들이 직접 대주고 있다. 많은 대학의 경우 기업들의 지원은 거의 결정적이다. ‘진리 탐구’나 ‘상아탑의 자율성’은 옛말이 된 지 이미 오래다.
다른 나라라고 해서 본질적 차이는 그다지 없는데 하필이면 한국 학계를 특별한 문제로 삼는 까닭은 무엇인가? 두 가지 이유를 들 수 있다.
첫째, 관피아와 함께 학피아라는 말이 떠오를 정도로 어느 나라보다도 한국 ‘명문대학’의 전임교원들은 사회 귀족으로서의 신분을 과시한다. 미국이라고 해서 폴리페서가 없는 것이 아니고 위에서 언급한 슐레진저와 같은 사람들은 사실 그 정의에 그대로 부합할 것이다. 그러나 대한민국만큼 폴리페서들이 판치는 세상도 참 드물다. 이명박 정권 5년 동안 대통령이 직접 임명하는 공공기관 고급 임원 중 교수와 연구원 출신은 24%나 됐다. ‘재벌정부’라는 누명을 썼음에도, 사기업 임원 출신은 약 8%에 그쳤다. 박근혜 초기 내각에서는 연구원 출신만 약 28%에 달했다. 즉, 두 극우적인 신자유주의 정권의 공통점이라면 신자유주의적 정책을 바로 ‘고급 두뇌’들이 추진한다는 것이다. 한국에서 유독 ‘교수 출신 장관’ 따위가 많은 이유는 여러 가지인데, 그중 하나 특기할 만한 이유는 바로 학벌 카스트 제도의 작동 방식이다.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이라는 세 대통령의 하나의 공통점을 지적하자면, 그들 중에서는 그 누구도 감히(?) ‘서울대 마피아’라고 호칭할 수 있는 학벌조직이 대한민국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건드리지 못했다는 것이다. 김대중과 노무현이 각각 임명한 정무직 공무원 중 서울대 출신 비율은 47% 정도였으며, 이명박 시절에는 고려대 출신에 약간 밀린 결과 40%로 깎이긴 했지만 그대로 우세를 유지했다. 특정 대학이 국가 전체를 쥐락펴락하는 상황에서 그 대학 전임교원의 정치·사회적 비중은 과연 어느 정도일까?
둘째, 그 어느 나라에서도 대학들이 신자유주의적으로 개편되지 않는 곳은 거의 없지만, 그 일부(성균관대·중앙대 등)를 아예 재벌기업이 소유하는 한국만큼 저질스럽고 졸속적인 신자유주의화를 볼 수 있는 곳은 드물다. 예컨대 정부의 정원감축이나 특성화 사업에 발맞추느라고, 도살하듯이, 학생의 의견을 무시해 가면서 여러 대학에서 벌어지는 학과 통폐합을 보라. ‘비인기’라고 해서 독일·프랑스어, 사회학이나 철학 등의 학과들을 폐품 처리하듯이 단숨에 없애버리는 것은 과연 학술적 전통이 있는 대학에서 가능한 일일까? 아니면 ‘영어 논문’ 광풍이나 ‘유명 해외 학술지’ 광풍을 보라. 내가 있는 오슬로대학을 포함해서 세계 대부분의 대학들은 교원들이 학술 활동을 영어로 하는 것을 유도하고, 교원들의 영미권 유명 학회지 논문 게재를 선호한다. 그만큼 세계적으로 영미권 학계의 패권이 강한 것은 현실이다. 한데 외국의 유명 학술지에 논문을 실었다고 하여 그 저자로 돼 있는 교수에게 수천만원의 포상금을 내놓는 대학은 한국 말고 과연 어디에 더 있는가? 더군다나 국내의 논문생산 시스템에서 상당수 교수들이 대학원생이나 비정규직들을 무상 착취해 가며 논문을 만드는 것까지 생각한다면, 국내 대학들을 기초 상식이 없고 기본 인권도 지킬 줄 모르는 신자유주의적 착취공장으로 봐도 무방할 듯하다.
장하준 교수는 케임브리지대에 취직할 수 있어도 국내의 ‘명문대’ 경제학과 같으면 취직하기 매우 힘들었을 것이다. 경제학과 교수들은 비정규직 양산부터 ‘규제완화’까지 서민들 삶의 기반을 뒤흔드는 데 앞장섰다. 학피아의 주변부에 속하는 인문학의 가장 큰 문제는 고질적인 현실도피다.
세월호 학살로 귀결된 대한민국의 신자유주의화를 이끈 것은, 학피아의 하나의 중심이라고 할 ‘명문대’들의 경제학과였다. 거기에서는 마르크스주의자는 고사하고 제도주의 학파 등 온건 케인스주의자도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미국에서 학위를 받고 돌아온 시장주의자 일색이다. 시장주의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으로 큰 인기를 얻은 장하준 교수는 케임브리지대에 취직할 수 있어도 국내의 ‘명문대’ 경제학과 같으면 취직하기가 매우 힘들었을 것이다. 경제학과 교수들이 역대 정권에 의해서 가장 자주 정무직으로 등용됐으며, 비정규직 양산부터 범죄적인 ‘규제완화’까지 서민들의 삶의 기반을 뒤흔드는 데 앞장섰다.
경제학과들을 점령하다시피 한 시장주의자들의 범죄성이야 노골적이지만, 학피아의 주변부에 속하는 인문학의 가장 큰 문제는 고질적인 현실도피다. 예를 들어 여러모로 가장 현재성이 강할 수도 있는 역사학을 보라. 최근의 ‘문화 중시’와 같은 포스트모던 추세로 한참 ‘뜨고 있는’ 식민지시대 영화 연구로 지난 10년 동안 적어도 50개 이상의 연구논문이 발표됐다. 그러나 삼성가의 자본축적 경위나 그 과정에서의 식민지 당국이나 독재정권과의 유착을 본격적으로 다룬 저서 내지 논문은 3~4편밖에 없다. 신자유주의 시대에 어차피 이빨 빠진 호랑이가 된 민족주의는 학계에서 비판의 대상에 올라도, 한국 대학에 대한 자본 지배의 현실은 거의 학술적으로 다루어지지 않는다. 한마디로 국가와 자본의 명령대로 인문학은 ‘가만히 있는’ 것이다.
박노자 노르웨이 오슬로대 교수·한국학
세월호에서 수장당한 아이들에게, 시장주의와 순응주의가 당연시되는 세상을 만드는 데 앞장서온 고등교육기관 교원인 우리가 속죄하자면, 이제라도 학피아의 테두리를 안으로부터 과감히 부숴야 한다. 국가와 자본을 끊임없이 문제시하고 도전하는 학문만이 새로운 학살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는 신자유주의 시대의 새로운 ‘실학’이 된다. ‘가만히 있지 않기’를 실천하고 가르쳐야 우리에게 속죄의 길이 열릴 것이다. 착취공장으로 전락한 대학의 틀 안에서 안주하는 순간 우리도 종범이 된다.
약속 시간에 늦었다. 급히 대문을 열고 나오는데 옆집 할머니가 엘리베이터 앞에 서 계셨다. 할머니가 우리집 쪽을 돌아본 그 순간 엘리베이터 문이 열렸다. “아, 잠시만요!”라는 외침이 무색하게 할머니는 엘리베이터 문을 닫고 내려가 버리셨다. 벌써 두 번째 있는 일. 집에 오는 길에 버스를 탔다. 버스 안에서 어떤 아저씨가 스마트폰으로 운동경기 중계를 보고 있었다. 소리를 스피커폰으로 해두어서 나를 비롯한 버스 승객 모두는 강제로 그 시끄럽게 웅웅대는 소리를 들어야 했다. 텔레비전에서 우연히 유명한 연예인을 길거리에서 만난 대학생들의 반응을 보게 되었다. 그들은 “와!” 하고 놀라더니 “헐~ 대박!”을 외치며 무작정 스마트폰 카메라부터 연예인의 얼굴에 들이대고보기 시작했다.
옆집에 살아서 서로 얼굴을 모르는 것도 아닌데 할머니는 왜 그러셨을까? 혼자 타고 가는 대중교통도 아닌데 아저씨는 왜 그러셨을까? 아무리 연예인이라도 처음 보는 사람인데 아무런 인사도 없이 그저 어떤 대상을 다루듯 학생들은 왜 그랬을까? 처음엔 왜 이렇게 무례할까 생각했다. 그런데 차츰 사람을 배려할 수 있는 ‘공감’의 개념 자체를 배우지 못해 그런 것일지도 모르겠다는 쪽으로 생각이 옮아갔다. 공감이 없으면 애초에 마음에 ‘너’가 없으니까 무례일 것도 없다.
지난해에 케냐에 갔다가 우연히 비정부기구(NGO)가 지원하고 있는 방과후교실 수업에 참관할 기회를 얻게 됐다. 초등학생들 수업이었는데, 그 수업의 그날 주제는 ‘정직’(Honesty)과 ‘온전함’(Integrity)이었다. 선생님은 학생들에게 그 두 단어를 각각 나름대로 정의해 보게 했다. 학생들의 발표가 끝없이 이어졌다. 45분 내내 수업은 이것이 전부였다. 두 개의 단어로 45분 수업이 다 갔다. 무척 인상 깊었다. 내가 받아온 수업이란, 늘 ‘정직해야 해요’로 시작해서 ‘이러이러한 게 정직한 행동이에요. 이렇게 행동해요’를 암기한 뒤 어떤 것이 정직한 행동인지 문제집에서 연습한 후 시험에서 만점을 받는 것이 전부였기 때문이다.
45분을 딱 두 개 단어로 보내는 것, 지나치게 더딘 수업방식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아이들은 선생님이 일방적으로 내려준 정의와 행동강령을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생각하는 것을 배운다. 남이 내린 정의를 강요받는 것이 아니므로 이 정의는 나의 행동을 결정하고 책임질 힘을 갖는다. 두 단어만 공부하는 것 같지만 실은 이 시간 동안 아이들은 자기 삶을 더 넓고 깊게 살펴보게 된다. 가족과 자기의 관계, 친구와 자기의 관계 등등. 천천히 아이들의 마음에 인간이 들어온다. ‘너’가 보이기 시작하고 너와 ‘공감’하게 된다. 행동은 당연히 일일이 지시해주지 않아도 어떤 상황에서든 자연스레 타인을 배려하는 행동으로 이어진다.
입시 위주의 우리 교육은 도덕 시험에서는 100점을 맞지만 실제 생활에선 전혀 도덕적이지도 타인을 고려하지도 못하는 기이한 인간을 만들어냈다. 남이 내려준 정의는 내 것이 아니니 책임질 필요 없고, 단순 암기는 전체를 보는 눈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이다. 인간이 마음에 들어와 있지 못한 사람의 눈에 ‘너’가 보이지 않는 것은 당연하다. 지금 우리나라에는 ‘공감 불능’이 만연해 있다. ‘어떻게 사람이 그럴 수 있어?’란 외침이 가득하다. 아이들의 더딘 걸음을 기꺼이 기다려주는 천천한 교육만이 이를 해결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